-
내년 경제 전망
정철진 앵커>
내년 2021년은 코로나19 종식은 물론 침체된 경기를 되살릴 중대 전환기가 될 전망입니다.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먼저 준비된 영상부터 만나봅니다.
방송일자 : 2020.12.23
-
뉴노멀 시대
정철진 앵커>
코로나19 위기와 함께 뉴노멀 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미래학자 제이슨 솅커는 이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뉴뉴뉴 노멀 시대를 예견했는데요.
관련 영상부터 보시겠습니다.
방송일자 : 2020.12.23
-
위기를 넘어 희망의 대한민국 1부
특별생방송 778회
방송일자 : 2020.12.23
-
위기를 넘어 희망 대한민국 2021 외교 전망은?
최대환 앵커>
우선 2020년, 우리나라에 있어 어떤 한 해였다고 느끼시는지 소회 및 총평부터 부탁드립니다.
Q. 2020년 우리 외교 정책은?
방송일자 : 2020.12.23
-
코로나19 국제협력 성과는?
최대환 앵커>
여러 말씀들에 공감합니다. 2020년은 국내외 외교 역사상 매우 특별한 한 해로 기록될 것 같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굵직한 국제 외교 일정이 대부분 비대면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지난 1년 간 우리 정상과 정부는 어떤 행보를 보였는지 주요 외교 이슈들을 임보라 앵커가 정리해드립니다.
코로나19라는...
방송일자 : 2020.12.23
-
다가오는 바이든 시대, 한반도 정세 변화는?
임보라 앵커>
트럼프에서 바이든으로, 바이든은 대선 승리 후 "미국이 돌아왔다"는 말을 되풀이하며 트럼피즘을 뒤엎겠다는 신념을 강조했습니다. 2020년 바이든 당선의 의미와 미국인들의 니즈, 어떻게 읽고 계십니까?
Q. 2020 미 대선 '바이든 당선' 의미는?
최대환 앵커>
롤러코스터와 같았던 미국의 대선 결과가 발표되자 국내외 유력 매체들...
방송일자 : 2020.12.23
-
2020년 한 해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최대환 앵커>
이처럼 세계 경제 1, 2위 국가인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패권국과 패권 도전국의 투키디데스 함정으로 가듯 격화되는 양상입니다. 지금까지도 쉽지 않았지만 앞으로 이 패권 경쟁의 틈바구니에서 우리가 선택의 갈림길에 설 순간이 더 많아질 것 같은데 바이든호 출범 이후의 갈등 양상은 어떻게 전개될까요? 이성현 세종연구소 중국연구센터장의 강연을 통해...
방송일자 : 2020.12.23
-
위기를 넘어 2021년, 한반도 대북관계의 해법은?
최대환 앵커>
또 하나 한반도 정세에 있어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직결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조 바이든 후보의 미국 대통령 당선은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라는 대목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탑다운 방식과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적 인내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어떤 대북정책으로 진화하게 될까요? 영상 잠깐 보시고 대담...
방송일자 : 2020.12.23
-
2021년 우리 정부의 외교 과제는?
최대환 앵커>
대북 사안은 미국뿐 아니라 중국, 그리고 일본 등 주변 강대국과도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북한을 협상의 카드로 두고 밀당을 할 경우, 무엇보다 북한의 인권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작용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Q. 북한 인권문제, 주요 이슈로 부상할까?
올해 9월, 일본에도 새 정부가 들어섰습니다. 아베 신조 총리 전격 사...
방송일자 : 2020.12.23
-
2020 한반도 평화정책 컨퍼런스
특별생방송 777회
방송일자 : 2020.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