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뉴딜 정책의 실효성
최대환 앵커>
콜롬비아대학교의 제프리삭스 교수와 화상으로 연결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제프리 삭스 / 콜롬비아대 석좌교수)
최대환 앵커>
한국은 기후위기와 경제위기를 동시에 극복할 대안으로 디지털, 그린 뉴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중 그린 뉴딜에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자할 예정인데요.
위 정책의 실효성이 궁금합니다. ...
방송일자 : 2020.12.03
-
한국판 그린뉴딜의 3대 추진 목표
최대환 앵커>
그린뉴딜, 이제 정말 선택이 아니라 필수 같다. 한국판 그린 뉴딜 정책 어떻게 진행 중인가요?
(출연: 김성환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최대환 앵커>
한국판 그린뉴딜의 3대 추진 목표는?
임보라 앵커>
도시공간 생활 인프라 녹색전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은?
최대환 앵커>
그린뉴딜이 실현되면 우리 삶과 사회 어떻게 ...
방송일자 : 2020.12.03
-
한국판 그린뉴딜이 나아가야 할 방향
최대환 앵커>
저희 타이틀이 대한민국 대전환인데요. 사실 세계적인 대전화의 시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정부는 물론이고 사회, 기업들, 모두가 함께 대전환을 준비해야하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 대전환을 이루기 위한 선결요건은 무엇인지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현진 (서울과학종합대학원 특임교수)
이성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연구원...
방송일자 : 2020.12.03
-
대한민국 대전환, 디지털 뉴딜
특별생방송 772회
방송일자 : 2020.12.02
-
디지털 뉴딜이 불러올 새로운 변화
최대환 앵커>
그러면 우리가 디지털 뉴딜 정책을 왜 추진해야만 하는지 그리고 추진을 하면 어떻게 바뀌는 것인지 궁금하실텐데요.
사전 설명을 들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정양호 원장님을 무대로 모시겠습니다.
(출연: 정양호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원장)
최대환 앵커>
네, 원장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디지털 ...
방송일자 : 2020.12.02
-
디지털 뉴딜과 일자리
임보라 앵커>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시작된 ‘한국판 뉴딜’ 특히 일자리 부분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2025년까지 160조 원을 투자해 총 19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특히 디지털 뉴딜을 통해 총 58조 2000억 원을 투자, 일자리 90만 3000개를 창출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방송일자 : 2020.12.02
-
디지털 뉴딜 전환, 빅데이터 중요성
최대환 앵커>
디지털 뉴딜의 목적과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과연 우리 사회가 얼마나 디지털 뉴딜에 대한 역량을 가지고 있을지 궁금합니다. 미국 뱁슨대의 데이븐 포트 석좌 교수 연결해서 의견을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연: 토마스 데븐포트 / 미 뱁슨대 석좌 교수)
최대환 앵커>
디지털 뉴딜로 전환하는데 있어 빅데이터가 중요...
방송일자 : 2020.12.02
-
디지털 뉴딜이 불러올 보건·의료 변화
최대환 앵커>
디지털 뉴딜의 또 다른 특징 중에 하나가 바로 비대면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 산업을 육성한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죠. 그리고 또 하나, 보건 의료 분야에서도 빠질 수 없는 게 바로 비대면인데요. 과연 디지털 뉴딜이 보건 의료 분야에는 어떤 변화를 만들어낼지 국립보건연구원 권준욱 원장님 모시고 이야기를 들어보도록 하겠습...
방송일자 : 2020.12.02
-
산업에서 디지털이 일으키는 전환
최대환 앵커>
디지털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 경제에도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는데요. 특히 비대면이 중요해지는 산업 분야에서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미국 보스턴대학교의 벤카트라만 교수님의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출연: 벤캇 벤카트라만 / 미국 보스턴대학교 경영학 석좌교수)
최대환 앵커>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되는 디지털 전환은...
방송일자 : 2020.12.02
-
일상에서의 디지털 뉴딜
임보라 앵커>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비대면 산업이 전 분야에 걸쳐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교실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됐습니다.
먼저 전국 모든 초중고 교실 38만실에 고성능 와이파이를 100% 구축합니다.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오래된 컴퓨터와 노트북 20만대가 전부 신형으로 교체되면서 교사와 학생들 모두 스마트기기를 안정적이고 ...
방송일자 : 202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