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배너 닫기
KTV홈페이지 이용자 만족도 조사, 30분을 추첨하여 CU모바일 상품권 (1만원)을 증정해 드립니다! 기간 : 25. 10. 27.(월) ~ 11. 07.(금)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한국, ICAO 이사국 5회 연속 선임

남>

정부 세종청사 부처들의 정책이슈를 살펴보는 여기는 세종 시간입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우리나라의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아이카오) 이사국 5회 연속 선출과 관련해 세종정부청사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충현 기자 소식 전해주시죠

여기는 세종입니다.

저는 정부 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 나와 있습니다.

오늘 시청자 여러분과 함께 할 내용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우리나라가 5번 연속 이사국으로 선출됐다는 내용입니다.

오늘 정부 청사는 국정감사가 시작된 관계로 상임회의장 중심으로 팽팽한 긴장감 마저 감돌고 있는데요.

오늘 ICAO 소식가지고 시청자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국토교통부 국제항공과 김완중 과장, 이근영 사무관 나오셨습니다.

질문1> Q. ICAO 5회 연속 선출, 얼마나 치열했나?

답변> 네 국제민간항공기구 이사국 선거는 지역별, 대륙별 단결구도가 매우 강한 성격이 있습니다.

그런데 중동, 유럽, 중남미, 아프리카 이런 곳에서는 지역민간항공위원회가 구성되어서 나름대로 정리를 해서 이사국 선거에 출마를 하고 또 정수 만큼 출마를 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은 선거구도가 되는데 아시아지역의 경우에는 지역 민간항공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현재 Prat 3 경우에는 2개국 자리가 있는데 3개국이 출마를 했기 때문에 아주 치열한 경쟁구도를 뚫고 이사국에 피선되었습니다.

질문2> Q.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역할은?

답변> 1944년 설립된 UN산하 특별기관으로 국제항공 관련 모든 기준 결정. 우리나라는 1952년에 가입

-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는 일반 국민들에게는 조금 생소한 기구일줄 모르지만 1944년에 설립된 UN 산하의 특별기관입니다. 국제 항공에 관한 모든 기준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구로써 현재 191개국이 가입되어 있고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 가입해서 현재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질문3>Q.ICAO내 우리나라의 위치는?

답변>  네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는 국제 항공운송 순위 6위 국제민간항공기구 분담금 10위 정도의  항공강국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ICAO는 국제항공 초기부터 미국, 영국, 프랑스 등 항공강국들이 이사국을 선점하는 구도를 유지해왔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 항공강국들은 불리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아시아지역에서 현 이사국인 우리나라와 말레이지아 외 인도네시아가 추가로 출마를 해서 상당히 어려운 선거를 치뤘습니다.

총 176개 투표수 가운데 우리나라가 156개의 표를 얻어서 종합 2위를 한것을 상당히 큰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 이유를 본다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아프리카 중남미 등 개발도상국 학생들을 초청해서 무상교육을 실시한 점 또 항공 IT 기술을 이용해서 소프트웨어를 무상으로 보급한 점 항공 안전평가, 항공 보안평가 세계 1위 등 우리나라가 항공분야에 자랑할 점이 많았던 것을 내세울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국토교통부 모든 전문가들이 현지 출장을 했고 특히 국토교통부 장관님께서 현지에서 지지 미표명 국가들을 대상으로 열심히 지지활동을 벌인 것이 가장 큰 성공요인이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질문4>Q.ICAO 이사국 5연임 성공, 이후 계획은?

답변> 국제항공계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기에는 아직 좀 이른 감이 있습니다.

그래서 국토교통부에서는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기재부,한국관광공사 등 여러기관과 함게 협업 체계를 구성하고 또 관뿐이 아니라 항공전문가, 항공사, 항공관련 연구원, 학회 등과 국가 전체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해서 앞으로 우리나라의 국제항공 위상이 좀더 높은 위치에 다다를 수 있도록 여러가지 계획을 수립해서 중점 추진할 계획입니다.

예를 들어서 국제기구에 우리나라의 항공전문가 진출이 적습니다.

그러나 ICAO 아태지역 사무소장에 우리나라 항공전문가가 지원을 한 상태이고 앞으로도 국제기구에 우리나라의 항공전문가들이 보다 많이 진출해서 활발한 활동을 할수 있는 여건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또 각종 항공관련 국제회의에도 우리나라 전문가와 일반 민간들이 적극 참여해서 의제를 발표하고 토론회도 활발히 참여해서 우리나라의 국제적인 항공위상을 더 높일수 있는 여러가지 방안을 수립해서 시행할 계획입니다.

<이충현 기자 마무리 멘트>

노력없이 이뤄지는 일은 하나도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오늘 이야기 나누면서  느껴진 부분입니다.

누군가가 길을 터 주지 않는 이상 따라가는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을 텐데요

국제민간항공기구가 설립된 이후에 우리나라가 5번 연속 이사국에 선출되었다는 의미는 남다르지 않을 수 없는데요

오날 자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정부 세종청사에서 ICAO 국제민간항공기구 5번 연속 이사국 선출 내용가지고 시청자 여러분과 함께했습니다.

여기는 세종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