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개성공단 남북 공동위'···다음주 본격 논의

KTV 7 (2013년 제작)

'개성공단 남북 공동위'···다음주 본격 논의

등록일 : 2013.08.19

앵커멘트>

남북은 7차례의 개성공단 실무회담 끝에 합의를 이뤄냈는데요, 이번 합의 사항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남북 공동위원회 윤곽이 다음주 잡힐 것으로 보입니다.

표윤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남북 합의에 따라 개성공단 문제를 실질적으로 다루는 '남북공동위원회'의 구성 논의가 다음주부터 본격화 될 전망입니다.

통일부는 '남북 공동위원회'의 구성에 대한 합의서 문안 작성을 마쳤다며, 최종 검토가 끝나는 다음 주 초 쯤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북측과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김형석/통일부 대변인

"그래서 1차적인 협의는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서 문서협의로 진행하고, 문서협의를 통해서 어려울 때는 만나서 협의해서 마무리 짓는 그런 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는 남북 공동위는 앞선 7차례의 남북 실무회담을 상설화 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남북 공동위'가 기존에 개성공단 문제를 맡아왔던 우리측의 개성공단 관리위원회, 그리고 북측의 중앙특구 개발지도총국과 역할과 지위를 어떻게 달리 할 지가 핵심 논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 '남북 공동위'가 개성공단 관련 문제를 어느 범위까지 다루는 기구가 될 지 역시 집중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화인터뷰>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개성공단 공동위원회의 성격과 지위, 역할을 남북 간 합의해서 어떻게 담을 것인가 이것이 가장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편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우리측 실무회담 수석대표인 김기웅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을 만나 하루 빨리 방북을 허용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공장 정상화에 최소 한 두 달이 걸리는 만큼 당장 다음주 부터라도 개성공단에 들어가 설비를 점검, 보수 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입니다.

입주기업들은 또 남북 공동위에 기업들도 참여하게 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남북이 이미 공동위를 당국 간 상설협의기구로 규정한 만큼 기업들의 참여는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KTV 표윤신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