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국회, 보험사기 및 교통사고부실조사 방지법안 발의!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정강(정강**)
등록일 : 2007.06.21 10:35
2007. 6. 18. 국회 홍미영의원실 김성호 02-784-6143
녹색자동차문화교실 정 강 010-9555-1894


- 1991년 대비 2005년 교통사고사상자 3.6배 발생
- 인적피해 교통사고의 74% 경찰조사 생략된 채 '사고운전자 무죄'
- 교통사고관련 보험범죄로 인한 연간 누수금액 1조6천억원
- 신고 및 조사관련 법조항 유명무실, 대체입법 마련

"교통사고 가짜환자 발붙일 곳 없어진다." 앞으로 인명피해가 발생한 교통사고를 야기한 운전자는 반
드시 경찰조사를 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18일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홍미영의원은 "손해보험사가 보험접수된 교통사고의 건을 관할 경찰관서에
통보토록 하고 경찰은 통보받은 건을 일정기준에 따라 조사처리한 뒤 조사결과를 전산관리토록 하는
내용의 도로교통법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인명피해 발생한 교통사고, 반드시 경찰조사 받아야

법안을 발의한 홍미영의원은 "사고의 크기 또는 부상의 정도와 관계없이 경찰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 않음으로서 꾀병환자와 자동차보험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면서 "현행 도로교통법은 인적피해
교통사고를 야기시킨 운전자는 경찰에 신고하도록 규정(제54조 제2항)돼 있고 교통사고를 인지한 경찰
은 필히 조사하도록 규정(제54조 제6항)하고 있지만 잘 지켜지지 않아 관계법조항을 개정하는 것이
다."고 말했다.

홍미영의원은 또, "이렇게 되면 불필요한 보험금 지급이 크게 줄어들어 선량한 보험가입자들의 보험료
가 인하되는 효과를 가져 오는 것은 물론이고, 교통사고 통계를 정확하게 집계·분석할 수 있게 돼 올
바른 교통정책 수립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고 말했다.

교통사고관련 보험사기(꾀병환자) 원천적으로 차단

개정작업에 참여해 온 녹색자동차문화교실의 정 강 대표는 "발생사고의 85%가 중상이상의 피해를 남기
는 보행중사고(차대사람사고) 중 55%가 경찰조사는커녕 신고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면서 "경찰조
사 없이 보험처리만으로 사건이 종결됨으로서 교통사고는 단순한 실수일 뿐이라는 인식이 우리 사회
에 만연하고 있다."고 실태를 설명했다.

정 강 대표는 또, "일각에서는 공소권이 없는 교통사고까지 조사할 경우, 경찰행정력이 헛되이 낭비됨
으로 보험처리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주장하는데, 신고와 조사가 있어야만 공소권이 있는 사고인지 아닌
지를 알 수 있을 게 아니냐."고 반문하면서 "오늘 누리고 있는 행정편의는 국가 사회적 손실이 막대
한 비정상적인 제도로부터 얻어진 편리(片利)임으로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무사안일을 꼬집었
다.

그러면서 정 대표는 "그동안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인 신고 및 조사관행을 둘러싼 의혹의 목소리
가 끈이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면서 "금번 개정안이 입법 시행되면 동일한 사고내역을 보험사와 경찰
이 공유하게 됨으로 조사결과에 대한 의혹과 불신이 사라져 우리 사회가 한층 더 투명하고 건강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교통사고 조사결과를 둘러싼 사회적 불신 해소

지난 2005년 한해 8십1만4천여 건(사상자 1,261,800명)의 인적피해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으나 경찰에
신고 돼 조사가 이루어진 교통사고는 2십1만4천여 건(사상자 348,609명)으로서, 전체 인적피해 교통사
고 중 74%가량이 보험처리만으로 사건이 종결됐다.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