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부안지역의 기형아 출산 우려에 대한 진실은 무엇인가?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원자력근무자(원자력**)
등록일 : 2004.02.10 18:09
부안지역의 기형아 출산 우려에 대한 진실은 무엇인가?
원자력발전소 또는 원전수거물 처분장 등에서 받는 인공방사선량의
수준이 대체로 연간 1밀리렘 이하인데 비해 자연으로부터 연간
240밀리렘, 엑스선 1회 촬영시 10밀리렘 정도를 받는 점 등을 감안할 때
방사선으로 인한 암 또는 기형아는 기우라고 판단됩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정말로 암 또는 기형아 등이 무섭다면
방사선이 아닌 다른 발암물질, 유전적 요인, 또는 환경적 요인에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방사선과 기형발생
가축의 기형발생은 염색체의 수,형상,구조 이상 등 유전적 요인과 환경, 영
양결핍,
바이러스 감염, 항생제·농약의 과다 사용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지구상의
모든 지
역에서 발생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나타날 것입니다.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무뇌아의 발생은 중금속 오염, 약물 남용, 비타민 결
핍, 연
탄가스 중독과 같은 산모의 건강상태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합니
다. 우
리나라에서도 1천 명의 신생아 중 1~2명은 무뇌아로 출산되며, 유럽지역
의 경우
1천 명당 8명 정도가 무뇌아로 태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어디까지나 무뇌아

태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 충남 당진에서 영양 결핍으로 인한 실명 송아지 발생(1996. 11. 14 신문)

기형가축 발생함.
• 1989년 영광 무뇌아 사건과 관련하여 1991년 서울대병원의 역학조사 결

특이사항이 없다고 판명되었음.
• 1996년 월성원전 인접지역 기형 가축발생에 대한 국립수의과학연구소
분석결과, 모기를 매체로 한 바이러스성 질병(아카바네병)으로 밝혀졌음.
• 1999년 울진원전 인접지역 기형 가축은 농림부 산하 수의과학검역원의
검사결과 가축 질병에 의한 것임.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원전 주변주민과 타 지역주민들의 건강상태에 대
해 서울
대병원 역학조사 결과 지역 특성에 따른 특이한 문제는 없었으며, 1999년 4
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농림부의 협조를 받아 4개 원전 주변에 사육 중인 가임 어
미소 약
3200두에 대해 아카바네병 예방백신 접종 후 2000년 1월 조사시 기형가축
발생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방사선과 암
암 발생 환자를 조사하기 위한 역학조사의 대상은 크게 다음 세 가지로 나
누어 실
시되었습니다.
• 주변지역 주민 : 원전 반경 5Km 이내
• 근거리 대조군 : 원전 반경 30Km 이내
• 원거리 대조군 : 원전 반경 30Km를 벗어난 지역

원전 주변 지역주민의 암 발생 등에 대한 역학조사는 1990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
병원 주관으로 전남대, 경북대 등 원전 소재 대학병원 등의 협조를 받아 실
시되었
습니다.

2000년 9월 발표된 역학조사 결과, 영광원전 등 원전 주변지역이 근거리 및
원거리
대조군 지역보다 암 발생자가 약간 적게 나타났으나, 대상 인원이 적고 추
적 관찰
기간이 짧아 학술적으로 근거 있는 자료는 향후 4~5년이 지나야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발표하였습니다.

방사선 영향
원자력발전소 또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등에서 받는 인공방사선량의 수
준이 대
체로 연간 1밀리렘 이하인 점을 감안할 때 방사선으로 인한 암 또는 기형아
는 기우
라고 판단됩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정말로 암 또는 기형아 등이 무섭다
면 방사
선이 아닌 다른 발암물질 또는 유전적·환경적 요인에 더 신경을 써야 할 것
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