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 개통일이 오는 4월 1일로 확정됨에 따라 서울~부산을 2시간대에 달리 게 돼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 시대에 진입하게 됐다. 이에 따라 국민 생활상의 변화 뿐만 아니라 경제.산업 전반에 커다란 변화 가 예 상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개통일자와 관련,4월 15일로 예정된 총선을 의식한 것 이 아 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요금은 얼마=고속철도의 요금은 새마을호의 평균 1.34배,항공요금의 63~72% 수준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일반실의 경우 경부선은 <>서울~부산 4만9천9백원 <>서울~ 동대구 4만원 <>서울~대전 2만6백원 <>서울~천안.아산 1만1천 4백원이다. 호남선은 서울~목포 4만2천9백원 <>서울~광주 3만8천2백원 <>서울~송 정리 3만7 천2백원 <>서울~익산 2만8천6백원 <>서울~서대전 2만7백원이 다. 특실은 일반실 요금에 40%가 추가된다. 우등 고속버스 운임과 비교하면 지역에 따라 두배 안팎 수준이다. 건교부는 "재정경제부와 요금을 협의중"이라며 "정부 인가요금이 결정되면 철도 청이 이를 기준으로 다시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철도청은 또 다양한 요금할인제도를 도입한다. 통근.통학 이용자를 위해 주중 최대 40%까지 할인해주며 승차권을 조기예 매할 경우(60일전부터 가능) 7~20%까지 할인한다. 기본 15%,최대 30%까지 할인해주는 할인카드도 도입하며 10인이상 단체승 차권은 10%이상 할인해줄 계획이다. <>열차운행 계획=고속열차는 평일 하루 82회,주말 92회 운행된다. 평일기준 경부선은 15~20분,호남선은 40분간격으로 다니게 된다. 경부선의 경우 평일에는 서울~부산 32회,서울~동대구 14회,서울~대전 6 회,용산 ~부산 8회가 각각 운행되고 주말은 광명역을 출발,부산으로 향하 는 4편의 고속 열차가 추가 운행된다.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경부.호남선 일반열차는 35%와 30%가 각각 줄어든 기존의 65%와 70% 수준으로 운행된다. 특히 중장거리 노선의 경우 경부선은 최고 70%,호남선은 최고 50%까지 대 폭 감 축된다. 철도여객이 고속철도로 전환됨에 따라 기존 철도의 화물 수송능력이 7.7배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화물 컨테이너의 처리량이 연간 39만개에서 3백만개로 늘어나게 되는 물류혁명도 예고된다. 김후진 기자 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