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협력이 30대 그룹으로 확대되고 기업간 협력을 넘어 사회발전 전략으로까지 확산됩니다. 정부는 24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대기업 총수와 경제단체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보고회의`를 열었습니다.
정부는 우선 지난해 주로 7대 그룹을 중심으로 진행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협력 범위를 올해는 30대 그룹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상생경영을 위한 투자규모가 1조 3천억원으로 늘어납니다.
또 제조업 중심의 상생협력에서 올해는 유통과 에너지, 건설 등으로까지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대기업과 1차 협력 업체 사이에 이뤄졌던 상생협력도 2차 협력업체까지 늘어날 예정입니다.
정부는 특히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17.6%를 차지하면서도 국내 부가가치는 절반에도 못 미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재료 산업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5년 동안 2,500억원을 지출해 연간 17,000명 정도의 고용을 늘릴 계획입니다.
또 설계와 생산, 납품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 시스템을 단계별로 구축해 생산성도 높이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현재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직업능력 개발 훈련 체제에서 소외돼 있는 점을 감안해 우선적으로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차별화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또 중소기업의 직장 보육 시설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보고 대기업의 보육시설을 인근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개방하도록 유도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24일 상생협력 보고회의에서 제시된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 위해서 한명숙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 위원회를 설치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