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매체가 다양화되면서 시청자들의 선택권도 넓어지고 있지만 필요한 장비가 없는 저소득층 장애인들은 이같은 혜택을 누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오는 2012년까지 저소득층 장애인에게 필요한 방송수신기를 100% 보급하기로 하는 등 방송 소외계층에 대한 종합지원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방송의 디지털화, 융합화가 이뤄지면서 매체는 다양했졌지만 고령화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장애인과 노령층, 그리고 외국인 등 방송 소외 계층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런 가운데 방송통신위원회가 소외계층의 방송접근권을 확대하기 위해서 2012년까지 43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서 우선 장애인 방송수신기를 보급하고 자막방송과 수화방송, 화면해설방송 등 장애인 시청지원 방송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각각 63.2%와 37.4%에 머물고 있는 저소득층 시청각 장애인의 자막방송과 화면해설 방송수신기 보급률을 디지털방송이 시작되는 2012년까지 100%까지 끌어올리고, 저소득 난청노인을 지원하는 난청노인용 수신기 보급률도 50%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방통위의 계획대로라면 2012년 방송 소외계층은 26만 명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함께 디지털TV 생산시 자막방송 수신기능 내장 의무화도 추진됩니다.
또 장애인들이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하기 위해서 지상파 방송의 경우 오는 2012년까지 자막방송은 100%, 수화방송은 5%, 화면해설방송은 10%까지 프로그램을 편성하도록 제작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방송통신위는 이밖에도 방송이 다문화 가정이나 탈북이주민들이 사회 적응하는데 TV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을 고려해 이들을 위한 미디어교재를 발간하고 특화된 교육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KTV 강명연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