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전반에서는 올 한 해 동반성장이 가장 큰 화두였습니다.
대형 유통업체의 판매 수수료를 내리고 중소기업의 사업 영역을 보호하는 등 성과도 많았지만, 기업간 갈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김경아 기자입니다.
연초부터 이명박 대통령은 산업계에 동반성장을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하도급 법 개정과 불공정 거래 개선을 추진하며 산업 현장에 동반성장 분위기 확산을 주도했습니다.
100여개 대기업이 2만8천여개 중소협력사와 동반성장협약을 체결하며, 산업계도 동반성장 문화 정착을 위해 달려왔습니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세 차례에 걸쳐 총 79가지의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선정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백화점과 대형마트, TV홈쇼핑이 중소납품업체로부터 받는 판매 수수료를 내리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대·중소기업 사이에 마찰도 있었습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과정에서 데스크톱PC 등 일부 품목은 기업 간 갈등이 오히려 커졌고, 법적 강제성이 확보되지 않아 중소기업계에서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이익공유제 도입도 대기업의 반발이 커 일단 유보된 상태입니다.
정부는 당초 계획대로 내년 상반기에 대기업별 동반성장 지수를 공개하고, 성과공유제 모델을 개발해 확산시킨다는 방침입니다.
새해에는 동반성장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는 동시에, 자율적인 확산을 위해 기업 간 갈등의 골을 메우는 일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TV 김경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