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북극이사회의 정식옵서버로 진출했습니다.
자원의 보고인 북극 진출 꿈의 실현에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갔습니다.
'정식옵서버' 진출이 갖는 의미,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표윤신 기자, 어서오세요.
표 기자, 북극 진출의 교두보가 열렸다는 점에서 반가운 소식인데, 사실 '북극이사회'가 정확히 어떤 곳인지 설명이 먼저 필요할 것 같은데요, 네, 서정덕 앵커도 '세종기지'는 많이 익숙하시죠?
우리도 이미 80년대부터 세종기지를 세우는 등 전 세계적으로 남극개발은 일찍이 시작됐습니다.
남극지역 진출 시 각국이 따라야 할 '남극조약'도 60년대부터 존재했고요.
최근 개발이 시작된 북극은 각국간의 마찰의 소지가 있지만, UN 해양법협약 외에 마땅한 규제 방안이 없습니다.
때문에 북극 인근 국가들이 이와 관련한 논의를 하기 위해 1996년 만든 포럼이 바로 '북극이사회'입니다.
현재 북극이사회는 북극관련 사항을 논의할 수 있는 유일한 국제협의체입니다.
그럼 정식 옵서버는 어떤 자격을 의미하는 건가요?
이번 진출이 어떤 의미를 갖죠?
한국은 이번에 '정식옵서버' 자격을 얻음으로써, '지속가능개발작업반' 등 6개 작업반에서 활동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 회의 발언권과, 프로젝트 제안권 등을 갖게돼 북극 관련 정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됐습니다.
미국, 러시아, 캐나다, 스칸디나비아 5개국 등 회원국 8개국에는 못 미치는 지위이지만, 회원국은 북극 인근 국가에만 한정돼있기 때문에, 정식옵서버는 우리가 진출할 수 있는 최고의 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정식옵서버'에 여러 국가와 단체들이 신청을 했죠?
네, 어제 '북극각료회의'에서 새로운 '정식옵서버'가 결정됐는데요.
한국을 포함해 함께 '임시옵서버'로 활동해 온 중국, 일본, 이탈리아와 인도, 싱가포르까지 모두 6개 국이 '정식 옵서버' 지위를 얻었습니다.
역시 임시옵서버였던 EU와 그린피스 등 7개 국제단체들은 고배를 마셔, 다음 회의까지 2년을 더 기다리게 됐습니다.
한국 외에도 중국, 일본이 함께 '정식옵서버'로 진출한 점도 눈여겨 볼 만하네요.
진출 과정에 어려움은 없었나요?
'정식옵서버'가 되기 위해선 회원 8개국 모두의 찬성표를 얻어내야 합니다.
그동안 우리나라를 반대하는 나라는 없었지만, 함께 시험대에 오른 중국 등에 대한 견제 때문에 우리가 불이익을 겪지 않을까 하는 우려 역시 나왔습니다.
또 한국은 2002년 북극에 '다산과학기지'를 지으면서 뒤늦게 발을 내디뎠는데요.
80년대 북극 개척에 나선 일본이나 90년대 북극 탐사를 시작한 중국에 비해 늦은 진출이기 때문에 이 역시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충분히 외교력 등을 발휘한 덕에 좋은 성과를 얻으며, 이런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게 됐습니다.
북극 진출이 중요한 거는 아무래도 경제성 때문이겠죠?
북극진출, 어떤 경제적 가치가 있는 건가요?
북극의 얼음까지 녹이는 지구 온난화는 심각한 문제인데요.
오히려 얼음이 녹으며 북극의 경제적 가치는 더 높아졌습니다.
그동안 얼음으로 막혔던 길이 녹으며 북극해에 배가 다닐 수 있는 항로가 점차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새로운 북극항로를 이용하면, 한국에서 유럽으로 갈 때 기존 인도양 코스보다 거리를 최대 40%까지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운항일수는 40일에서 30일로 줄게됩니다.
현재는 쇄빙선으로 남은 얼음을 뚫으며 가야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만 온난화가 더 진행되면 운송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 얼음이 녹고 바닥이 드러나면, 여기에 묻힌 원유, 천연가스 등의 자원 개발이 더 용이해집니다.
북극은 전 세계 원유의 25%, 천연가스의 45%, 이 밖에도 많은 광물 들이 묻혀있는 마지막 남은 '자원의 보고'인데요.
사실, 각국들이 북극진출에 목을 매는 가장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북극진출을 위한 발판은 이번에 확실히 마련이 된 셈이군요.
그럼 북극진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남은 과제는 무엇이 있습니까?
북극이 자원의 보고이긴 하지만, 이미 강대국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실질적 목표는 북극 항로 개발에 있습니다.
새 정부 역시 국정과제로 이를 제시했는데요, 북극해 교통의 허브로 부상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담당 부처인 해수부는 올해 안에 '북극정책 마스터플랜'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는데, 이제 막 계획 짜기에 들어갔고, 아직 북극관련 담당부처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정식옵서버 지위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관련 정책 입안에 더 속도를 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네, 표윤신 기자 수고 많았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