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주요 내용은? [집중 인터뷰]

희망의 새시대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주요 내용은? [집중 인터뷰]

등록일 : 2013.12.13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총 부채가 지난 5년간 눈덩이처럼 불어나 무려 566조 원에 달했습니다.

나라 빚 446조 원보다 무려 120조 원이 더 많은 금액인데요.

이에 정부에서는 고강도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기획재정부 김상규 재정업무관리관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사내용]

Q1> 지난 5년간 공공기관의 부채 규모 엄청납니다.

지자체가 관리하는 공공기관까지 포함하면 566조에 달한다고 알려졌는데요.

먼저 주요 공공기관의 부채 현황, 말씀 부탁드립니다.

Q)  국내 공공기관 부채 현황은?

A> 2012년 말 기준, 공공기관 부채 : 493조 원

A> 지자체 관리 지방 공공기관 부채 포함 시 총 부채 : 565조 8천억 원

A> 주요 12개 공공기관 부채 187조 원 ('08년) → 412조 원 ('12년) 급증

A> 주요 12개 공공기관: 한국토지공사(LH), 한국전력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수자원공사

A> 주요 12개 공공기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장학재단, 예금보험공사

Q2> 공공기관 부채 증가의 원인, 어떻게 파악되고 있습니까?

Q)  공공기관 부채 증가 원인은?

A> ① 시설투자 확대 ② 서민생활안정 위한 정책추진

  ③ 요금인상 최소화 ④ 부실저축은행 지원 등

A> 부채증가 주도 기관 책임성 강화 위해 7개 시범기관

  (한전, LH, 가스, 수공, 철도, 예보, 중진공단)에 ‘구분회계’ 도입 추진 중

Q3>(건전하고 건실한 공공기관으로 거듭나야할 것 같은데요) 이틀 전, 공공기관 정상화를 위한 고강도 대책이 발표됐습니다. 주요 내용 살펴보죠.

먼저 부채에 대한 정보공개를 대폭 강화했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Q)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① 정보공개 강화

A> 공공기관 부채관련 정보공개 대폭확대, 국민의 감시 강화

A> 부채증가 주도 12개 공공기관의 지난 5년간 부채, 발생 원인별·성질별로 분류 공개(12월10일)

A> 매년 10월 10일 ‘공공기관 정상화데이’ 지정

Q4> 공공기관의 부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복리후생 사례가 다수 파악된 것으로 압니다.

공공기관의 과도한 복리후생 사례, 설명부탁드릴게요.

Q) 공공기관 과다 복리후생 조사 내용은?

A> 과도한 복리후생 8대 항목 선정

: 고용세습, 휴직급여, 퇴직금 지원, 부적절한 교육비·의료비·경조금 지원,  복무행태 등 (각 기관별 정보 ‘알리오’ 통해 공개)

Q5> 무엇보다 부채를 줄여야 할 것 같은데요.

어떤 대책이 마련돼 있는지 말씀부탁드립니다.

(특히 부채를 주도하고 있는 12개 기관에 대한 관리는?)

Q>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② 부채 관리

A> 공공기관 부채비율 2017년까지 200% 수준으로 관리

A> 부채증가 주도 12개 공공기관 내년 1월까지 부채감축 계획 제출 · 기채발행 시 주무부처 승인

Q6> 그런데 공공기관의 부채 감축 과정에서 예기치 않은 손실과 무리한 인원감축 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이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Q> 공공기관 부채감축 활성화 위한 안전장치는?

A>· 부채감축대상 매각대상 자산 ☞ 충분한 시장조사 실시 부득이한 자산매각손실 ☞ 경영평가, 감사 등 불이익 감경 또는 면제조치

A> 일률적 인원감축 통한 구조조정 지양

Q7> 12개 중점관리 기관 외에 방만 경영의 문제가 지적된 공공기관도 많았습니다.

어떤 대책이 마련돼 있습니까?

Q>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③ 방만 경영 개선

A> 방만 경영 소지 높은 20개 기관 (한국마사회, 한국거래소, 지역난방공사 등) 중점관리대상 지정·집중관리

Q8> 중점관리대상에 있는 기관만이 아니라, 전체 공공기관에 대한 투명한 경영관리, 필요할텐데요.

각 주무부처가 책임을 진다는 내용이 있더군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Q>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④ 주무부처 관리 역할 강화

A> · 2014년부터 해당 기관장-주무부처 장관 ‘경영성과협약’ 3년 단위로 체결 2014년 1분기까지 기관별 정상화 계획 제출, 추진상황 주무부처가 모니터링

Q9> 엄청난 부채를 짊어진 공공기관. 모두 국민의 세금과 직결되지 않습니까.

(특히 비상임이사의 고액연봉 등등 임원진의 문제로 이제껏 많은 비판을 받았는데요)

공공기관 정상화를 위해 임원진들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Q> 공공기관 정상화 위한 임원진 자구 노력은?

A> 금융·SOC·에너지 분야 등 총 43개 기관장 성과급 상한선 대폭 하향

Q10> 주무부처가 제각각인 공공기관입니다.

효율적인 정상화 대책이 되기 위해서는 협의체계가 잘 꾸려져야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이에 대한 방안, 마련돼 있을까요?

Q> 공공기관 주무부처 간 협의 체계는?

Q11> 끝으로 고강도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앞으로 어떻게 추진해 나갈 생각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Q> 공공기관 정상화 위한 정부의 노력은?

지금까지 기획재정부 김상규 재정업무관리관과 함께 정부의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에 대해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