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2016 병신년…문화와 신화로 본 원숭이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2016 병신년…문화와 신화로 본 원숭이

등록일 : 2016.01.05

앵커>

십이지동물 중 하나인 원숭이는 우리생활 곳곳에 재주가 많고 모성애가 강한 동물로 등장하고 있는데요.

원숭이 해를 맞아 우리 문화와 신화 속에 표현된 원숭이의 모습을 살펴봤습니다.

김용규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조선말기 화가 정승업이 그린 송하고승도 입니다.

소나무 줄기에 걸터앉은 노승에게 원숭이가 두 손으로 불경을 받치고 있습니다.

다른 조선 후기 작품인 '안하이갑도'는 원숭이가 나뭇가지로 게를 잡는 그림입니다.

그림에 등장하는 원숭이는 재주와 출세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창일 학예연구사 / 국립민속박물관

"우리 일상생활에서 벼루, 문방구, 그리고 회화 특히 도자기에 많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높은 벼슬을 상징하기도 하고 재주가 뛰어나기 때문에 재주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원숭이는 우리의 문화와 신화 속에 인간과 가장 많이 닮은 재주꾼으로 등장합니다.

자식과 부부지간의 극진한 사랑은 사람을 빰 칠 정도로 애정이 섬세한 동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원숭이는 설화나 가면극에서는 재주꾼으로 도자기 그림이나 회화에서는 모성애와 출세를 강조하고 장수의 상징으로 묘사 됐습니다.

인터뷰> 김은희 관장 / 안산시행복예절관

"더욱 더 지혜를 모아서 희망찬 한 해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마음입니다."

원숭이해를 맞아 열린 특별전에는 우리 민속과 신화 속 담긴 원숭이 그림과 자료 70점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원숭이 사육사로 이루어진 사진동호회원들이 오랜 기간 밀착 촬영한 원숭이 사진도 함께 전시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인터뷰> 천진기 관장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원숭이의 모습은 포도를 잡고 있고, 천도복숭아를 잡고 있고, 또 석류를 잡고 있으면서 장수와 다산과 부귀를 의미합니다."

원숭이를 매개로 우리 문화의 다양성과 변화를 알아보는 학술회도 열려 관심을 모았습니다.

서울동물원과 함께 마련한 ‘띠 동물 학술 강연회’는 인문학적 의미의 원숭이와 생태학적 의미의 자세하게 다뤄 원숭이에 대한 이해를 도왔습니다.

인터뷰> 이경연 원장 / 서울동물원 동물연구원

"재밌는 것은 원숭이는 무리를 지어 다니는데 무리 속에서 서로 싸우기도 하지만 갈등을 잘 극복해서 그 무리를 잘 유지시키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화나 전설 속에 그려진 원숭이의 행동과 특성을 소개하는 특별전은 다음달 22일까지 열리는데 한번 만나 보는 건 어떨까요?

원숭이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여 자신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능력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원숭이해를 맞아 어떤 어려움도 슬기롭게 헤쳐 나가는 희망찬 한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국민리포트 김용규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