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맞춤형 보육 시행 '100일'…"안정적 정착 노력"

KTV 830 (2016~2018년 제작)

맞춤형 보육 시행 '100일'…"안정적 정착 노력"

등록일 : 2016.10.10

앵커>
보육수요에 따라.. 어린이집을 다양하게 이용 할 수 있도록 한 제도, 바로 맞춤형 보육인데요.
시행 100일을 하루 앞둔 오늘, 황교안 국무총리가 어린이집을 방문해 현황을 점검하고, 맞춤형 보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강조했습니다.
임상재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황교안 국무총리가 맞춤형 보육제도 시행 100일을 하루 앞두고 서울의 한 어린이집을 찾았습니다.
황 총리는 학부모, 보육관계자와 간담회를 갖고 보육정책은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박근혜 정부의 핵심개혁과제라며 앞으로도 보육여건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싱크> 황교안 / 국무총리
"맞춤형 보육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학부모, 어린이집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보육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컨설팅 등 다양한 방안들을 강구해 나갈 것입니다."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난 7월 도입한 맞춤형 보육제도는 석 달여가 지난 현재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종일반은 77.3%으로 당초 정부가 예측했던 종일반과 맞춤반 비율 8:2 수준으로 조사됐습니다.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약 45%였고 홑벌이라 하더라도 다자녀와 임신, 취업 준비 등의 이유로 종일반을 이용하는 비중도 32%로 상당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제도 시행 전 맞춤형 보육이 홑벌이 가구를 차별하는 정책이 아니냐는 우려와 달리 보육 필요에 따라 종일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겁니다.
복지부는 또 어린이집의 보육료 수입이 줄어들 것이란 주장과 달리 종일반 비율과 긴급보육바우처 평균 이용시간인 약 11시간을 고려하면 어린이집의 보육료 수입은 지난해보다 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는 보육교사의 처우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속적으로 개선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보조교사와 대체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예산을 이미 지난해보다 720억 원 늘렸고 올해 보육료 수입 증가분을 교사 처우 개선에 먼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맞춤형 보육과 보육서비스의 질 제고가 함께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KTV 임상재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