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새 정부, 보육·교육정책 방향은? [라이브 이슈]

4시& 브리핑

새 정부, 보육·교육정책 방향은? [라이브 이슈]

등록일 : 2017.05.25

문재인 대통령은 ‘아이는 국가가 키운다’는 기조 하에 대선 당시부터 교육의 국가책임 강화를 약속했습니다.
무엇보다 정부와 교육부, 시-도육감의 교육 개혁에 대한 공감도 덕분에 국민의 기대도 한층 높아지고 있는데요.
새 정부의 교육 개혁을 이루기 위한 교육 기초공사, 어떻게 다져나가야 할까요?
서울신학대 사회복지학과 백선희 교수와 얘기 나눠봅니다.

1.
새 정부 보육-교육 정책의 가장 큰 기조는 역시 ‘교육의 국가책임’이라 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2.
교육의 국가책임제! 역시 관건은 재정입니다.
누리과정 예산 편성으로 그간 재원에 대한 어려움이 많았는데요.
교육비 지원 정책, 어떻게 실현될까요?

3.
어린 자녀를 둔 학부모님들의 큰 호응을 얻었던 부분입니다.
0세부터 초등학교 6년까지 자녀에 대한 아이돌봄서비스.
빠른 시행이 가능할지 자세한 내용 소개해 주시죠.

4.
육아 휴직에 대한 확대도 기대가 큰 부분입니다.
육아휴직 급여 인상도 조만간 추진될 것이라는 소식인데요.
휴직 급여 하한선을 월 60~70만원 수준으로 인상하고, 휴직 초창기 급여 상한선을 15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
속도를 낼 듯합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5.
‘더불어돌봄제도’ 도입을 통한 유연근무제도 시행을 계획 중입니다.
어떤 방식의 유연근무제가 실제 아이를 돌보는 내용과 이어질까요?

6.
아동수당 도입은 빠르면 올해 중 입법해 내년 중 시행될 계획이라고 하죠.
아동수당의 인상액이 어떻게 현실화 되리라 보십니까?

7.
가족과 함께 하는 환경 조성을 위한 ‘칼퇴근 법 제정’도 계획 중입니다.
이 부분은 실효성과 민간 기업의 참여가 큰 관심사인데요.
노동 문화와 가정 문화 전반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요?

8.
(고등학교) 교육 분야를 보면 고교 서열화와 학력 차별철폐를 위해 외고-자사고- 국제고의 단계적 폐지 계획을 밝혔습니다.
더불어 고교 학점제와 수강신청제가 도입될 예정인데요.
어떤 효과를 거둘 수 있을까요?

9.
대학입시 제도 단순화도 큰 관심사입니다.
공정성 확보가 관건일 텐데요.
입시 제도의 단순화, 어떤 내용일까요?

10.
문재인 대통령은 ‘국가 교육회의’를 설치해 교육개혁을 진행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국가교육회의가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기대되는 부분은 무엇인지,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내 아이만이 아닌, 우리 아이만이 아닌, 모두를 위한 교육! 온 국민의 기대가 큰 만큼 백년지대계의 백년을 책임질 굳건한 정책이 마련되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서울신학대 사회복지학과 백선희 교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