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실내 초미세먼지 먹는 식물 '톱5' [현장in]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실내 초미세먼지 먹는 식물 '톱5' [현장in]

등록일 : 2019.03.27

임보라 앵커>
요즘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공기정화에 도움이 되는 식물을 찾게 되는데요, 농촌진흥청이 미세먼지를 20% 정도 줄이는 효과가 있는 식물을 새롭게 찾아냈습니다.
이 식물들을 실내에 어떻게 두는 게 가장 효과적일까요?
현장인 김유영 기자입니다.

김유영 기자>
봄을 맞아 활짝 핀 꽃들이 싱그럽습니다.
주부 박미소 씨는 실내 공기정화에 도움이 되는 식물에 눈이 갑니다.

인터뷰> 박미소 / 대전시 유성구
"요즘 미세먼지가 너무 많아서 집에 아이도 키우고 있는데 (아이가) 갑갑해하고 그래서 공기 정화 차원에서 하나 구입하려고 왔어요."

그렇다면 이런 식물들이 미세먼지를 얼마만큼 줄여줄 수 있을까?
시료용 미세먼지를 압축공기로 쏘아올리자 실험 상자 속이 순식간에 뿌연 먼지로 가득찹니다.

김유영 기자 issamoi@korea.kr>
시료용 미세먼지가 담긴 실험상자를 3시간 동안 뒀더니, 초미세먼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걸 펌프를 통해 식물이 있는 실험상자와 식물이 없는 실험상자에 나눠 넣어서 초미세먼지를 측정해 봤습니다.

녹취> 홍혜원 / 농촌진흥청 연구원
"식물이 있었던 실험상자에서 (초미세먼지) 입자 크기인 PM2.5 값을 봤을 때, 평균 109㎍ 정도가 나왔고, 식물이 없었던 실험상자는 똑같은 조건에서 174㎍가 확인됐습니다. (초미세먼지가 그만큼 줄어든거네요?) 그렇죠. 약 20% 정도 감소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험 전, 엄청난 양의 초미세먼지가 가시화 장치 모니터에 포착됩니다.
이 장치를 식물이 들어있는 실험상자에 넣었더니 초미세먼지양이 확연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광진 / 농촌진흥청 농업연구관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는 크기의 차이죠. 실제 미세먼지는 10㎍정도니까 기공을 통해서 일부는 들어가겠지만, 초미세먼지는 더 작기 때문에 흡수돼서 들어가는 것은 더 쉽다고 보여집니다."

농촌진흥청이 총 30개 식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실험이 진행된 4시간 동안 미세먼지를 가장 많이 없앤 식물은 파키라가 155.8㎍/m³로 가장 효과가 좋았고, 이어 백량금, 멕시코소철, 박쥐란, 율마 순이었습니다.

김유영 기자 issamoi@korea.kr>
식물 별로 필요한 화분 개수도 다른데요, 약 6평 정도 되는 방에, 4시간 동안 미세먼지를 약 20% 정도 줄이는데는, 가장 효과가 좋은 파키라는 화분 3개 정도가 필요합니다.

특히 식물이 미세먼지를 줄이는데, 효과적인 식물의 잎 뒷면은 '주름 형태'라는 사실도 이번에 처음 밝혀졌습니다.
잎 뒷면이 매끈한 형태의 식물은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보통 수준, 잔털이 많은 형태는 효과가 저조했습니다.

인터뷰> 김광진 / 농촌진흥청 농업연구관
"실험을 해보니까 잔털이 많으면 잘될 것 같지만 잔털이 오히려 미세먼지를 밀어내는 형태이고, 주름이 져서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진 주름 형태가 더 좋더라는 거고요."

농촌진흥청은 식물의 공기정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식물과 공기청정기를 결합한 '바이오월'을 개발했습니다.
'바이오월'은 식물에 비해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약 7배 정도 높습니다.
(영상취재: 김정섭 임주완 / 영상편집: 김종석)
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시스템은 앞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그린오피스, 그린 스쿨 등에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인 김유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