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동대문 시장의 봄···다시 돌아온 유커 '왕홍’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동대문 시장의 봄···다시 돌아온 유커 '왕홍’

등록일 : 2019.05.23

조은빛나 앵커>
중국인 관광객이 줄면서 침체됐던, 동대문시장에도 봄이 왔습니다.
유커와 함께 '왕홍'이라고 불리는 중국 유명 sns 스타들도 다시 찾기 시작했는데요.
사드 규제 이전의 중국 관광객 수치도 80% 이상 회복 했습니다.
동대문 쇼핑몰에 경남희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경남희 국민기자>
자정이 가까운 시각 동대문 상가 대낮같이 불을 밝힌 쇼핑몰이 활기에 넘칩니다.
여기저기에서 중국어가 자연스럽게 들리고 매장마다 관광객의 눈길을 끄는 알록달록 신상들이 내걸렸습니다.

인터뷰> 중국인 관광객
“쇼핑하러 왔어요. 한국에 옷 보러 왔고 예쁜 거 많네요. 많이 샀어요. 앞으로도 한국 자주 올 거 같아요.”

인터뷰>
“쇼핑하러 왔어요. 한국에 옷 보러 왔고 예쁜 거 많네요. 많이 샀어요. 앞으로도 한국 자주 올 거 같아요.”

많은 팔로우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 SNS 스타 왕홍들도 분주하게 움직입니다.
실시간 스마트폰 라이브를 통해서 동대문 의류를 바로 중국 소비자와 연결하는 왕홍들은 중국 소비자로부터 인기를 더해 가고 있습니다.

현장음>
“이거 안 비싼데. 네 번째 것 218위안. 이거? 네가 말한 게 이거구나?”

늦은 시간이지만 쇼핑몰 안은 발 디딜 틈이 없이 북적입니다.
유커와 왕홍들이 다시 찾아오면서 동대문 시장은 과거의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아직 사드 이전만큼 완전히 회복된 것은 아니지만 중국인 손님이 늘어나면서 상인들의 표정도 한껏 밝아졌습니다.

인터뷰> 신종혁 / 도매 상인
“전보다 중국 고객이 늘었고 아무래도 중국 고객들이 구매량이 많다 보니까 예전보다는 경기가 좋아진 편입니다.”

인터뷰> 리맹위 / 중국 직원
“제 생각에는 최근 유커와 왕홍이 많이 늘고 예전에 비해 사람이 많이 늘어난 것 같아요.”

도매 시장도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시장 앞에는 중국으로 보낼 의류가 수북하게 쌓입니다.
당일 중국으로 보낼 의류인데요.
포장하고 분류하는 손길이 분주합니다.

현장음>
-이거 어디로 가는 건가요?
-중국 광저우로 가는데요.

동대문 쇼핑몰은 빠른 생산과 패션 디자인을 자랑하며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인터뷰>
“왜 한국에 오냐고요? 옷이 예쁘고 심플하니까요.”

우리나라 패션 시장의 1번지 동대문 시장.
사드 갈등이 완전히 풀려 더 많은 중국 관광객이 찾아오길 기대합니다.
(영상촬영: 윤채영 국민기자)

국민리포트 경남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