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저항과 순정의 시대 '맨발의 청춘'(1964)

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시절연가 토요일 09시 20분

저항과 순정의 시대 '맨발의 청춘'(1964)

등록일 : 2025.07.04 22:49

1960년대 한국 사회의 격변 속에서 청춘이 겪었던 갈등과 방황, 그리고 사랑과 저항의 정서를 대변한 노래 <맨발의 청춘>. 전쟁의 폐허를 딛고 근대화의 길로 들어서던 시기, 젊은 세대는 급변하는 가치관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삶의 방향을 스스로 찾아야 했다. 그리고 기존 질서에 순응하지 않고, 사회적 비난과 차별 속에서도 사랑과 자유를 위해 싸우는 길을 택했다. 재즈 색소폰의 묵직한 음색과 절제된 창법, 비장한 가사는 당시 청춘들이 느끼던 불안과 혼란, 그리고 끝내 지켜내고자 했던 사랑과 자존심의 표상. 단순한 방황을 넘어, 당시 한국 사회에 만연했던 신분과 계급, 전통적 권위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내며 문화적 이정표가 된 이 노래를 다시 살펴보자.

# 오프닝 & 출연자 소개
- MC 장유정, 하재근, 게스트 한강 인사
- 유튜브 조회수 1,200만 회를 기록한 한강의 노래 <연모>

# 주제곡 <맨발의 청춘> 소개
- 영화 <맨발의 청춘>(1964) 삽입곡
절망 속에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았던 청춘 이야기

# 가수 최희준은 누구인가?
- 남진, 나훈아가 존경한 가수
- 절제된 감정 표현, 진심이 묻어나는 창법
- 서울대 법대 출신, 인텔리 이미지의 국민가수
- 대표곡: <하숙생>, <우리 애인은 올드미스> 등
- 최희준의 음악적 전환 : 밝고 깨끗한 이미지에서 세련되고 중후한 남성상으로 <맨발의 청춘>을 통해 색다른 창법과 음악성 전개

# 1964년 대한민국 시대상
- 1인당 국민소득 255달러, 산업화 초입
- 제조업, 수출, 조선, 전자 등 각 산업군 성장 시작
- 대규모 실업률(23.2%)과 대학 졸업자 취업난 병존
- 청년 이민, 해외 노동 수출의 시대

# 영화 <맨발의 청춘> 줄거리 요약
- 가난한 청년 두수와 상류층 여성 안나의 비극적 사랑
- 계급 간 괴리, 좌절, 희망 없는 청춘의 고난 묘사
- 마지막 장면에서 드러난 맨발은 계급차 극복의 실패 상징
- 도시와 계급이 만든 좌절과 분노
- 트위스트춤, 청바지, 가죽점퍼 등은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
- 세계적으로 유행한 반항 청년 이미지의 한국적 수용

# 청춘영화의 변화
- <맨발의 청춘> 이후 청춘상은 반항적이고 현실적인 모습
- 계급격차, 이뤄질 수 없는 사랑, 사회적 소외 등 직시
- 서울 관객 25만 명, <맨발의 청춘>은 동시대 최고 흥행작 중 하나

# 주제곡 <맨발의 청춘> 가사 분석
- 사랑에 모든 걸 거는 거리의 청춘
- 패배주의보다 저항과 자존심 강조
- 세련된 재즈풍 편곡과 남성적 창법
- 작곡 이봉조, 작사 유호

# <맨발의 청춘>이 그 시절을 대표하는 노래가 된 이유
- 1960년대의 순정·반항·절망을 처음 사실적으로 표현
- 이후 시대가 지나갈수록 달라지는 맨발의 청춘들.
- 1997년, 벅 <맨발의 청춘>. 희망과 패기를 드러내는 가사
- 지금은 BTS, IVE, 제니 등 '나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이 시대 청춘으로 확장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