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프닝 & 출연자 소개
- MC 장유정, 하재근, 게스트 한강 인사
- 유튜브 조회수 1,200만 회를 기록한 한강의 노래 <연모>
# 주제곡 <맨발의 청춘> 소개
- 영화 <맨발의 청춘>(1964) 삽입곡
절망 속에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았던 청춘 이야기
# 가수 최희준은 누구인가?
- 남진, 나훈아가 존경한 가수
- 절제된 감정 표현, 진심이 묻어나는 창법
- 서울대 법대 출신, 인텔리 이미지의 국민가수
- 대표곡: <하숙생>, <우리 애인은 올드미스> 등
- 최희준의 음악적 전환 : 밝고 깨끗한 이미지에서 세련되고 중후한 남성상으로 <맨발의 청춘>을 통해 색다른 창법과 음악성 전개
# 1964년 대한민국 시대상
- 1인당 국민소득 255달러, 산업화 초입
- 제조업, 수출, 조선, 전자 등 각 산업군 성장 시작
- 대규모 실업률(23.2%)과 대학 졸업자 취업난 병존
- 청년 이민, 해외 노동 수출의 시대
# 영화 <맨발의 청춘> 줄거리 요약
- 가난한 청년 두수와 상류층 여성 안나의 비극적 사랑
- 계급 간 괴리, 좌절, 희망 없는 청춘의 고난 묘사
- 마지막 장면에서 드러난 맨발은 계급차 극복의 실패 상징
- 도시와 계급이 만든 좌절과 분노
- 트위스트춤, 청바지, 가죽점퍼 등은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
- 세계적으로 유행한 반항 청년 이미지의 한국적 수용
# 청춘영화의 변화
- <맨발의 청춘> 이후 청춘상은 반항적이고 현실적인 모습
- 계급격차, 이뤄질 수 없는 사랑, 사회적 소외 등 직시
- 서울 관객 25만 명, <맨발의 청춘>은 동시대 최고 흥행작 중 하나
# 주제곡 <맨발의 청춘> 가사 분석
- 사랑에 모든 걸 거는 거리의 청춘
- 패배주의보다 저항과 자존심 강조
- 세련된 재즈풍 편곡과 남성적 창법
- 작곡 이봉조, 작사 유호
# <맨발의 청춘>이 그 시절을 대표하는 노래가 된 이유
- 1960년대의 순정·반항·절망을 처음 사실적으로 표현
- 이후 시대가 지나갈수록 달라지는 맨발의 청춘들.
- 1997년, 벅 <맨발의 청춘>. 희망과 패기를 드러내는 가사
- 지금은 BTS, IVE, 제니 등 '나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이 시대 청춘으로 확장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