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세계 첫 '국회 수소충전소' 착공···인프라 구축 속도 [현장in]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세계 첫 '국회 수소충전소' 착공···인프라 구축 속도 [현장in]

등록일 : 2019.05.31

신경은 앵커>
세계에서 처음으로 국회 안에, 수소 충전소가 들어섭니다.
앞으로 수소 경제 활성화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인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올해 초부터 수소차를 몰기 시작한 전병철 씨.
조용한 승차감은 물론 5분 충전으로 최고 6백km까지 달릴 수 있는 점이 무엇보다 만족스럽습니다.

인터뷰> 전병철 / 수소차 이용자
"일반 차량 같은 경우에는 시동이 걸려서 운전하면서 진동이 느껴지는데 이 수소 차량은 차도 잘 나가고 조용하고 좋은 것 같습니다."

첨단 기능과 짧은 충전시간, 친환경 연료가 장점으로 떠오르면서 수소차 판매가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올 들어 지난 17일까지 자사 수소전기차인 넥쏘가 1천 75대 팔려 지난해 전체 판매량 940여 대를 이미 넘어섰습니다.
정부의 구매 보조금 지원 정책과 맞물려 수소차 보급이 늘면서 이 추세라면 하반기에는 역대 최다 판매 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수소차 수요가 늘면서 수소충전소 확충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정부는 올해 초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1호 사업으로 서울 도심 4곳에 수소 충전소 설치를 허용했습니다.
이 가운데 세계에서 처음으로 국회 안에 들어설 수소충전소 착공식이 열렸습니다.
국회 정문과 의원회관 사이의 이 부지에는 오는 8월쯤 수소차 충전소가 들어서게 됩니다.
원래 국토계획법상 상업지역으로 분류돼 수소 충전소를 설치할 수 없지만, 규제특례를 적용해 설치를 허용했습니다.

녹취> 유인태 / 국회사무총장
"입법기관으로서 불필요한 규제를 혁신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는데 국회가 앞장서는 모범이 되고 우리나라가 앞으로 다가올 미래 수소차 시대를 앞장서기 위해 국회와 정부 민간 모두가 함께하는 협력의 상징이 될 것 입니다."

정부는 촘촘한 충전망 구축을 목표로 2022년까지 3백여 개의 충전소를 세운다는 계획입니다.
지난달에는 고속도로에도 충전소 3곳이 개장했고, 올해 안에 총 10기가 더 들어서는데 '수소 하이웨이' 구축도 눈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녹취> 성윤모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많은 국민 들이 수소에 대해 갖고 있는 불안감으로 확산이 지연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8월까지 국회에 수소충전소를 차질없이 설치함으로써 수소충전소에 (대해) 갖고 계신 불안감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여기에 내년 9월에는 강원 삼척, 경남 창원 서울 강서에 수소생산기지가 들어서 직접 수소를 생산에 주변 지역에 맞춤형 공급이 가능해지고, 2030년이면 이런 수소생산기지가 25곳이 들어서 생산거점과 거리에 따라 편차가 큰 수소가격이 내려갈 전망입니다.
현재 수소는 킬로그램 당 8천 원대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데요.
정부의 충전소 인프라 조성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4천5백 원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영상취재: 김정섭, 이수오, 임주완 / 영상편집: 양세형)
정부는 수소 산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규제 완화와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오는 8월 말쯤에는 전국의 광역지자체별 수소충전소 구축전략을 내놓을 계획입니다.

현장인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