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40년 전, 광주 5·18 민주화 운동 다시 본다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40년 전, 광주 5·18 민주화 운동 다시 본다

등록일 : 2020.05.18

김제영 앵커>
올해로 5.18 민주화운동이 40주년을 맞았는데요, 한국 현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광주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는 특별전시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특별전, 김제건 국민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김제건 국민기자>
"옷이 찢겨지고, 살갗이 찢어지고, 온몸이 피투성이가 되어 끌려가는 참혹한 광경 앞에서 숨이 막힌다."

시민 김현경이 1980년 5월 18일에 쓴 일기는 보는 이의 마음을 먹먹하게 만듭니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특별전
(장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40년 전 5월의 한복판에서 이를 경험한 광주 시민들이 기록한 일기 15점에는 암울했던 당시 상황이 담겨있습니다.

인터뷰> 김다은 / 서울시 양천구
"이런 일이 실제 시민을 상대로 벌어졌다는 게 제가 지금 20대를 살아가는 입장에서 이해하기 힘들고 학생들이 많이 죽었다는 것이 너무 가슴 아픕니다."

모든 정치 활동이 중지되고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되던 그때에 외신기자들이 촬영하고 쓴 기사자료들도 눈에 띕니다.
묵념을 하는 학생들, 눈물의 주먹밥을 길에서 나눠 먹는 모습, 당시의 상황을 담은 사진집과 출판물.
그리고 유네스코 기록물은 오월의 고통과 충격을 증언합니다.

인터뷰> 홍인화 / 광주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연구실장
"2011년에 시민들의 일기, 취재 수첩을 비롯해서 그 물건들, 또 국방부 자료, 청문회 자료 등등 아홉 가지 정도가 유네스코 기록물에 등재되면서 2015년에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을 개관했거든요. 5·18을 전국화하고 세계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1980년 5월 17일부터 27일까지 열흘 동안 광주에서 일어난 일들을 목격하고 알린 사람들의 뜨거운 이야기와 그들을 탄압했던 정부와 군의 기록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데요.
5·18민주화운동을 주제로 한 대규모의 전시가 서울에서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인터뷰> 김수진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관
"광주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서는 한국 사람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자세히 아는 사람도 드문 것이 사실입니다. 광주에 있던 많은 기록들과 정부가 생산한 기록들을 한데 모아서 서울에서 최초로 여는 큰 전시라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취재: 김제건 국민기자)

시민 기록물과 실물자료를 통해 1980년 5월 18일 민주화 운동을 살펴볼 수 있는 특별전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은 오는 10월 31일까지 계속됩니다.

국민리포트 김제건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