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등교수업 본격 시작 [유용화의 오늘의 눈]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등교수업 본격 시작 [유용화의 오늘의 눈]

등록일 : 2020.05.28

유용화 앵커>
학생들의 등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20일 고등학교 3학년생 등교에 이어서 고등학교 2학년생과 중3, 그리고 초등학교 1~2학년생들이 선생님과 친구들을 만나러 이른 아침부터 학교로 달려갔습니다.

어린 학생들을 학교에 보내는 학부모들 마음은 매우 착잡했을 것입니다.

혹시나 우리 아이가 감염되는 것은 아닌지, 학교에서 공부는 제대로 할 수 있을지.

걱정 반 기대 반 마음이었을 것입니다.
최근 지역감염 현상이 다시 나타나는 가운데 내린 교육 당국의 등교 결정은 물론 100% 안전을 보장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유은혜 교육부총리가 밝힌 바와 같이 지금 등교 못 하면 올해 아예 못하기 때문에, 또한 학교 방역에 대한 나름대로 자신감도 느끼고 있기 때문에 절박한 마음으로 등교 결정을 내렸을 것입니다.

그러나 교육 당국이 등교 결정을 내리게 된 결정적인 배경은 아마도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일제강점기 시절 차별적인 교육정책에도 불구하고 조선 청년 학도들의 배움의 열망은 대단했죠.

일제가 공립 교육제도를 도입한 이유도 결국 전국적으로 자리 잡혀 있었던 서당 및 사립학교 등의 교육 환경 열기를 식민지 교육시스템으로 돌리기 위한 고육책이었습니다.
해방 이후에도 교육열은 매우 뜨거웠습니다.

공부를 열심히 해서 대학을 나오게 되면 신분이 상승할 수 있다는, 즉 교육이 사회의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농촌에서 소 팔고 땅 팔아서 자식들을 서울로 보냈던 것입니다.

이러한 교육열은 사회의 경쟁적 신분 이동의 계기로도 작용했지만, 대한민국이 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매우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던 것도 사실입니다.

교육의 높은 열기가 바로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게 한 것입니다.

지난 4월 15일 우리는 코로나 19를 뚫고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습니다.

66.2%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번의 학교 정상화 정책 역시 정립된 방역시스템과 국민들의 협력으로 소기의 성과를 낼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교육을 받아야 하고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분위기 역시 우리 어린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인생에서 배움이 너무나 중요하다는 사실을 분명히 가르쳐 주기 때문입니다.

즉 코로나 19를 뚫고 면학에 정진했다는 그들의 경험은 결코 헛되지 않을 것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482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