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국방연구개발사업 주관기관 조정 방안', 공론화 절차 없었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국방연구개발사업 주관기관 조정 방안', 공론화 절차 없었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록일 : 2020.07.21

최대환 앵커>
또 다른 주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6월에 방위사업청에서는 '국방 연구개발사업 주관기관 조정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두고 한 언론 매체에서 국방과학연구소, ADD의 임무 상당 부분을 방위사업청에서 빼앗아 간다며 보도했는데요.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 서형진 본부장과 정확한 사실 내용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서형진 /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장)

최대환 앵커>
우선,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조정방안이 토론,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방위사업청에서 불쑥 밀어붙이기 식으로 진행 하고 있다면서 지적하고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또, 보도 내용을 보면, 이번 조정방안이 일반 무기 개발 사업은 방산 업체에 이양하고 국방과학연구소는 첨단 무기 개발에만 집중하자는 구상이라고 하는데, 맞는 얘기 인가요?

최대환 앵커>
일각에서는 인력과 기술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ADD도 성공을 장담하지 못하는 첨단 무기의 개발을 ADD를 배제한 채 방사청에서 업체들을 이끌고 한다는데,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이번 조정방안에 따르면 ADD 주관에서 업체주관으로 조정되는 사업은 한국형 수직발사체, 경어뢰 성능개량, 130mm유도로켓-Ⅱ,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 2차 사업인데, 이 중에서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 2차 사업 같은 경우는 개발 난이도도 높은데 이를 업체에서 제대로 수행 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어떤가요?

최대환 앵커>
일각에서 이런 우려도 있습니다.
한국형수직 발사체계를 두고 이 무기의 핵심 기술인 콜드 론치 기술은 업체 주관으로 시도해 성공을 장담할 수 있는 만만한 무기가 아니라며 지적하고 있는데, 사실과 다른 지점이 있다고요?

최대환 앵커>
그런데 이러한 주관기관 조정 방안이 ADD의 기능 빼앗기이며 이러한 방안을 시행하려면 기존의 조직, 인원으로는 감당이 안 된다며 방위사업청이 조직 확대를 노리고 있다는 보도 내용도 있습니다.
사실 여부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 서형진 본부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