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주말 새 한미일·한중 외교전···대북 정책 논의 결과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주말 새 한미일·한중 외교전···대북 정책 논의 결과는?

등록일 : 2021.04.05

최대환 앵커>
우리시간으로 지난 3일,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가 열렸습니다.
미국 바이든 정부의 대북정책 수립 막바지에 의견교환에 나선 건데요.
우리 측에서는 서훈 국가안보실장이 참석해 북한과의 대화 의지와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 시각 한국과 중국의 외교장관도 같은 문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중국은 대화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하고 협력하기로 약속했고 우리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협력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지난주, 동시다발적인 한미일-한중 외교전이 미중 갈등 사이 외교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두 회의 모두 대북 정책과 한반도 평화에 초점이 맞춰졌고, 북한과의 빠른 대화 재개에 동의한다는 미·중 양국의 공감대를 확인할 기회가 됐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 대담을 통해 짚어봅니다.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있는 신경민 전 국회의원과 함께합니다.

(출연: 신경민 / 전 국회의원)

최대환 앵커>
우리 시간으로 3일, 미국 메릴랜드에서 한미일 안보회의가 열렸습니다.
핵심 의제는 대북 문제였는데, 협의 내용 어떻게 보셨습니까?

최대환 앵커>
북미 협상 조기 재개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부분이 기대가 되는데, 관련해서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도 마무리 단계라는 소식입니다.
시기와 내용, 어떻게 전망하시는지요?

최대환 앵커>
그런데 이번 회의에서 미국이 안보리 결의 이행을 언급한 것을 두고 북한에 대한 압박과 강경대응을 시사한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또 북한뿐 아니라 중국을 겨냥하기 위한 언급이라는 해석도 있는데요.

최대환 앵커>
그 시각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이 자리에서도 마찬가지로 대북 협력 논의가 주로 오갔는데, 어떤 분위기 였습니까?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대북 문제를 두고 이렇게 동시다발적으로 미국, 중국과 협의를 하게 된 것, 우리 입장에서 전략적으로 장점이 있었을까요?

최대환 앵커>
미국의 새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이제 본격적으로 대북정책 논의가 다시 시작된 건데, 북한의 속내는 어떨지도 궁금합니다.
미국의 대북정책에 영향을 어떻게든 미쳐야 할텐데, 그래서 조급한 움직임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도 되는데요.

최대환 앵커>
미국의 대북정책이 나오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도 다시 한 번 탄력을 받아야 할텐데요.
관련해서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있는 신경민 전 국회의원과 함께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