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교통비 아끼는 '알뜰카드' 대상 지역 확대 [정책인터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교통비 아끼는 '알뜰카드' 대상 지역 확대 [정책인터뷰]

등록일 : 2021.04.19

김태림 앵커>
대중교통비 부담을 최대 30% 덜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 명칭이 이달 4월부터 '알뜰카드'로 변경됐는데요,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도 확대됩니다.
자세한 내용, 김세진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출연: 장구중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교통요금과장)

◇ 김세진 국민기자>
앞으로 더 많은 지역,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누리게 된 '알뜰교통카드', 어떤 카드인지 알아보기 위해 국토교통부에 나와 있습니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교통요금과 장구중 과장과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장구중 과장>
네, 안녕하세요.

◇ 김세진 국민기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해 이 알뜰카드가 작년부터 도입이 됐죠.
먼저, 작년 첫 해 성과부터 이야기해 주세요.

◆ 장구중 과장>
먼저 참여 지역을 말씀드리면 작년에 총 14개 시도 128개 시군구에서 참여했습니다.
작년 7월부터는 서울시가 전적으로 참여를 하게 돼서 대중교통 이용률이 높은 대도시 지역, 특별시, 광역시 전 지역이 참여하게 됐고 총 전체 인구의 80%에 해당하는 시민들이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용 실적을 분석해본 결과 이용자 월평균 12,862원의 교통비를 절감했습니다.
이는 월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약 20.2% 정도 절감한 거로 나타나서 교통비 부담 경감에 많은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이달 4월부터 '알뜰카드'로 변경이 됐잖아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 장구중 과장>
광역알뜰교통카드라는 명칭이 깁니다.
명칭이 길고 앞에 광역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다 보니까 광역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만 이용할 수 있는 거 아닌가 하는 오해가, 지적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그런 오해를 해소하고, 명칭도 간결하게 줄여서 기존 사업 명칭을 유지하면서 직관적으로 부르기 쉽도록 알뜰교통카드로 변경하게 된 것입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대중교통비 부담을 덜 수 있어 좋은 제도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제도인지 설명해 주세요.

◆ 장구중 과장>
'알뜰교통카드'라는 거는 지하철이나 버스 같은 대중교통 이용하기 전후에,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줘서 그 마일리지만큼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그렇게 적립한 만큼의 20% 정도는 마일리지 적립으로 인한 교통비 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해주고, 나머지 10% 정도는 카드사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서 총 최대한 30%까지 마일리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서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할 수도 있고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하게 됨으로써 환경보호에도 기여를 하고 건강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올해 '알뜰카드' 혜택을 받는 지역을 확대한다고 들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지역이 해당하는지, 또 얼마나 많은 주민들이 혜택을 받게 되죠?

◆ 장구중 과장>
올해 총 8개 시군구가 추가로 참여를 하게 됐습니다.
충북 제천, 전남 순천·무안·신안, 경북 김천·영천, 제주도 제주·서귀포 총 8개입니다.
그렇게 되면 총 15개의 시도, 136개 시군구가 사업에 참여하게 됩니다.
그리고 작년 총 이용 인원은 16만 명이었습니다.
그런데 올해는 이걸 대폭적으로 늘려가지고 30만 명 이상 이용할 수 있도록 저희들이 계획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현재 보행이나 자전거 등 이용 거리를 기반으로 지급되는 기본 마일리지에 더해서 추가로 지급하는 마일리지 제도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설명해 주세요.

◆ 장구중 과장>
저희들이 추가로 마일리지 적립을 하는 제도를 두 가지를 추가했는데요.
첫 번째는 이제 '얼리버드 마일리지'라고 도입했습니다.
아침 6시 반 이전에 대중교통을 타는 사람들에 한해서 마일리지를 기본 마일리지의 50%를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도입하게 된 배경은 대부분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출근 시간대 많이 몰립니다.
그러니까 7시 반에서 8시 반 사이에 많이 몰리는 경향이 있어서 출근 수요를 분산하고 코로나19로 인해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분위기 동참에도 참여를 하기 위해서 도입을 하게 됐습니다.
또 한 가지는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청년들에게만 마일리지를 추가로 도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청년들에게만 한정하지 않고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의 어려우신 분들에게는 전 연령층으로 확대를 했습니다. 두 가지를 추가로 도입을 했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마지막으로, 가계경제에 보탬이 되는 만큼 알뜰카드에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앞으로의 추가 계획이 더 있을까요?
마지막으로 한마디 해주시죠.

◆ 장구중 과장>
지금 코로나19로 인해서 가계경제가 많이 위축되고 있고, 또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에 대해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알뜰카드는 대중교통비도 절감을 하고 대중교통 이용과 더불어서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카드로써 그 의미가 아주 크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앞으로 저희가 '알뜰카드'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편의성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에게는 더 없이 좋은 제도라고 생각하는데요.
앞으로 더 많은 혜택이 늘어나기를 바래봅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장구중 과장>
네.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