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새정부 출범 정책이슈 바로가기 이매진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4월 소비자물가 2.3% 상승···"물가안정 노력 강화"

KTV 뉴스중심

4월 소비자물가 2.3% 상승···"물가안정 노력 강화"

등록일 : 2021.05.04

박천영 앵커>
4월 소비자 물가 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3% 올랐습니다.
정부는 물가 안정에 힘쓰면서 경기 회복을 견고히 하는데 정책 역량을 집중한단 계획입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07.39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3% 상승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0%대 상승률을 기록하다, 지난 3월 1%대로 오른 뒤 , 3년 8개월 만에 최고 상승 폭을 기록한 겁니다.
통계청은 농축산물 가격이 오름세를 지속했고 국제유가 상승으로 공업제품 물가가 오른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0% 상승률을 기록한 데 대한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지난달 농축산물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 13.1% 상승했고, 생활물가지수는 2.8% 올랐습니다.
공업제품 물가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2.3% 오르며 지난해 1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을 보였습니다.
반면, 전기, 수도, 가스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하락했습니다.
집값 물가는 지난해보다 올랐고, 전세와 월세도 소폭 상승했습니다.
통계청은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선 아직 우려할 단계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어운선 /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가격이 오름세를 보였던 농·축·수산물이 지금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요. 국제유가도 상승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기저효과 요인도 없어지는 하반기 들어서면 안정세를 되찾을 것으로 그렇게 기대하고 있고요."

거시경제금융회의
(장소: 오늘 오전, 서울 은행회관)

기획재정부는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국내외 시장 동향을 점검하며 국내 연간 물가 상승률이 2%대를 상회 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주요작물의 수확기가 도래하고, 국제유가도 안정세를 찾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기 때문입니다.
기재부는 물가안정에 힘쓰면서 실물경제의 강한 회복세를 견고히 하는 데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이억원 / 기획재정부 1차관
"정부는 현재의 경제 회복 흐름이 강하게 이어짐과 동시에 포용적 회복으로 귀결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물가 안정노력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이에 따라 이달 중 농축산물 조기 출하로 가격 안정에 나서고, 조달청의 원자재 비축물을 할인 방출해 기업 부담을 완화합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오희현)
이와 함께 올해 3% 중·후반 성장률 달성을 목표로 기업 규제 개선과 고용시장 회복에도 힘쓸 계획입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