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대형 트럭까지 방치, 쓰레기 섬 '금강 하중도’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대형 트럭까지 방치, 쓰레기 섬 '금강 하중도’

등록일 : 2021.05.26

강수민 앵커>
하천 중간에 퇴적물이 쌓여 형성되는 섬을 '하중도'라 부르는데요.
이런 곳은 상류에서 떠내려온 쓰레기가 많이 걸려 있습니다.
주변에 물이 차 있을 때가 많아 인력이나 장비 투입도 쉽지 않은데요.
대형 폐기물이 수년째 방치되고 있는 금강 하중도에 장진아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세종시 금남교 하단 하중도)
세종시를 감싸고 흐르는 금강입니다.
보행교와 금남교 사이에 하중도 주변이 수량이 줄면서 강바닥이 드러났습니다.
걸어서 들어간 본 섬.
각종 플라스틱이 풀더미에 널브러져 있고 수많은 해충이 날아다녀 숨쉬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광수 / 하천 쓰레기 수거 근로자
“지난여름에도 치우다가 비 와서 도중에 하차하고 여기도 들어올 새 없이 저런 곳 더 가까운 쪽에 도롯가에 가까운 곳이 채이니까 그쪽 치우느라 이런 데 들어올 새도 없었어요.”

버려져 있는 것은 생활 폐기물만이 아닙니다.
무성하게 자란 풀숲 사이로 자동차 핸들이 보입니다.
수해 때 떠내려온 트럭이 강한 가운데 흙 속에 반쯤 파묻혀 있습니다.
오랫동안 방치돼 곳곳이 녹슬어 있는데요.
밖으로 끌어내는 것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나무 잔가지들을 파헤치자 땅속에 묻혀있던 트럭의 모습이 드러난 건데요.
떠내려온 지 5년 이상 지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김광수 / 하천 쓰레기 수거 근로자
“이건 2017년도 그 이전에 온 거예요. 그 이전부터 와서 박혀 있던 건데 누가 어떻게 꺼낼 수도 없고...”

이 일대에서는 일용직 근로자 10여 명이 금강유역환경청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수거에 나서는데요.
강 한가운데 섬은 주변이 물이 차 있는 날이 많아 수거의 손길이 잘 미치지 못하는 데다 대형 폐기물을 물 밖으로 끌어낼 장비도 부족합니다.

인터뷰> 김근수 / 하천 쓰레기 수거 근로자
“흉관 이런 것도 많은데 그런 것들은 저희가 어디 처리할 수가 없고 자잘한 것만 자루에 담을 수 있는 것만...”

인터뷰> 김광수 / 하천 쓰레기 수거 근로자
“진짜 무거운 것이 많은 냉장고 같은 거 이런 건 여기서 누가 매고 가냐고요. 트럭 같은 거 못 꺼내 간다니까요. 우리도. 어떻게 할 수가 없다니까요.”

하천 주변과 달리 강 한가운데 섬은 쓰레기가 있는지 현장 확인이 어렵고 폐기물이 발견되더라도 수거가 늦어지기 일쑤입니다.

현장음> 장진아 국민기자
"자동차가 묻혔을 당시에 보고 체계나 그런 것들이 이루어지지 않았나요?"

인터뷰> 김병수 / 한국수자원공사 물환경처 차장
“17년부터 있었을까요? 그건 확인 한 번 해봐야 할 것 같아요...”

쓰레기가 하천을 타고 바다로 흘러들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는 '해양폐기물관리법'이 마련됐지만 아직 사각지대가 많고 인력과 장비도 충분하지 않아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최성용 / 해양수산부 해양보존과장
“해양 쓰레기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법률이 제정돼서 작년 12월 4일부터 제정 법인 해양폐기물관리법이 시행됐고요. 그 법률에 보면 하천 관리청에서 대량으로 유입되는 쓰레기를 차단하는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법률적인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그래서 이제 하천을 관리하는 중앙부처나 시도지사 지자체장들은 그에 대해 고민을 하셔야 돼요.”

(촬영: 양만호 국민기자)

아름다운 경관뿐 아니라 생물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강 속에 섬이 제모습을 찾을 수 있도록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국민리포트 장진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