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3분기 외국인투자 41.3% '껑충'···'역대 2위' [오늘의 브리핑]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3분기 외국인투자 41.3% '껑충'···'역대 2위' [오늘의 브리핑]

등록일 : 2021.10.07

신경은 앵커>
올해 3분기 외국인 직접 투자 동향이 발표됐습니다.
특히 외국인 투자가 크게 올랐습니다.
오늘의 브리핑, 함께 보시죠.

정종영 / 산업통상자원부 투자정책관
(장소: 산업통상자원부 브리핑실)

2021년 3분기 누적 외국인직접투자는 신고기준으로 전년동기대비 41.3% 증가한 182.1억 불, 도착기준으로 전년동기대비 40.9% 증가한 117.4억 불을 기록하였습니다.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신고·도착 기준 모두 역대 2위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써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안정적인 국내 경제 및 기업환경에 대한 외국인투자자들의 굳건한 신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국판 뉴딜, 미래 신산업, 소재·부품·장비 등과 관련된 첨단분야에 해당하는 투자가 유입되면서 전 세계적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국내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생산시설과 항체치료제 R&D센터 등의 투자 유치로 K-글로벌 백신허브와 전략 추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전년동기대비 18.1% 감소한 30.9억 불, 서비스업은 60.8% 증가한 143.2억 불, 이 외 기타업종은 292.8% 증가한 7.9억 불을 기록하였습니다.

제조업 중에서도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운송기계 등의 업종이 증가하였고 기계장비 등 의료정밀, 식품에 대한 투자가 감소하였습니다.

특히, 전기·전자 업종에 속하는 반도체 제조업은 전년동기대비 136.3%만큼 증가하였습니다.

서비스업에서는 정보통신, 사업지원 및 임대, 도·소매 업종에서 투자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O2O서비스·전자상거래 등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서비스와 클라우드서비스 투자도 큰 폭으로 유입되었습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 EU, 중화권, 일본에서 유입된 투자 모두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미국은 8.6% 증가한 33억 불로서 제조업은 전년보다 감소하였지만 서비스업은 재작년대비 감소한 전년과 달리 다시 증가하였습니다.

유형별로는 그린필드형보다 비중이 훨씬 작은 M&A형에서 증가액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영국을 포함한 EU로부터 유입된 투자는 173.2% 증가한 73.3억 불을 기록하였습니다. 국가별로 가장 비중이 큰 EU로부터 투자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전체 외국인투자 증가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업종별로 제조업은 전년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서비스업에서 큰 증가세를 보였고 유형별로는 M&A형 투자가 증가세를 주도하였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이 전년동기대비 73.9% 증가한 136.7억 불, 비수도권이 전년동기대비 58.4% 증가한 22.3억 불로 기록되었습니다.

수도권 투자 비중이 크게 보이는 이유는 투자신고서상에 기업 본사가 서울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것입니다. 실제 투자 지역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판 뉴딜인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분야의 투자 유입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비대면 소비 등 달라진 생활상을 반영한 디지털 뉴딜 분야에 14.6억 불의 투자와 태양광 발전 및 해상풍력 발전 분야의 투자사례입니다.

플랫폼서비스와 같은 신산업 분야의 투자도 있었는데 첨단 물류센터 건립을 위한 2억 불 투자, 0.9억 불 상당의 국내 스마트팩토리 소프트 기업 지분 인수 사례가 이에 해당됩니다.

반도체 소재 및 장비와 관련된 분야에서 외국인투자도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국내 소부장 산업에 대한 투자 관심도 견고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생산시설 0.5억 불, 항체치료제 등 개발을 위한 R&D센터 0.4억 불 투자를 유치한 사례가 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