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욱 앵커>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이 공개되기 전 '마지막 전문가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신경은 앵커>
각계 전문가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는데요.
토론회 내용, 이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이혜진 기자>
다음 달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을 앞두고 주요 쟁점을 점검하기 위한 공개 토론회.
단계적 일상회복의 개념과 전제조건 등 전반적인 방향을 다뤘던 1차 토론회에 이어 한 단계 구체화한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각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장기 유행 전망을 바탕으로 안전한 일상회복 방안과 의료체계 대응 전략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습니다.
우선, 방역체계 전환 후 하루 확진자와 입원 중환자 수 급증에 대비할 필요성이 언급됐습니다.
녹취> 정재훈 / 가천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최소한 평균 시나리오에 기반한 준비는 이뤄져야 합니다. 최대 일 확진자 2만5천 명, 재원 중환자 3천 명 수준의 평균 시나리오에 대해서 (확장할 준비를 해둬야 합니다.)"
이렇게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과정에서 유행 규모가 급격히 커질 때 발동할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서킷 브레이커' 도입이 제안됐습니다.
병상 가동률이 80% 이상 급증하거나 확진자 수가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서킷 브레이커를 발동하는데, 이때 방역완화를 일시적으로 멈추는 겁니다.
미접종자 보호를 강화하고, 사적 모임은 다시 제한하는 조치 등이 거론됐습니다.
이와 함께 '백신 패스'는 안전한 일상회복을 위한 수단일 뿐, 추가 규제가 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대중교통과 의료기관, 학교와 직장 등 사회필수시설 적용은 제외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코로나19 국민 인식조사 결과도 공개됐습니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앞둔 가운데 국민 대다수는 코로나19를 치명적인 위협에서 '관리하는 위험'으로 이해하기 시작했고, 개인 책임의 중요성도 수용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녹취> 유명순 /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관리되는 코로나'를 정부와 개인과 시민사회, 지자체가 양쪽에서 끌고 가는 것이다, 중앙 통제형 방역에서 다른 형태의 방역으로 간다는 부분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어야 곧 발표할 단계적 일상회복 로드맵의 수용성이 높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오는 25일에는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이후 방역·의료 분야 이행방안 관련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공청회가 열립니다.
(영상취재: 박상훈 김명신 / 영상편집: 김종석)
방역과 의료 대응체계와 거리두기 단계적 완화 등이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될 예정입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