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12월부터 서울지역에 필리핀 출신 외국인 가사도우미 100명을 시범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정부의 이 같은 밑그림에 급여 부담과 신뢰 문제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내용, 한국위기커뮤니케이션연구소 유재웅 박사 연결해서 꼼꼼히 팩트체크해보겠습니다.
박사님, 안녕하세요.
(출연: 유재웅 / 한국위기커뮤니케이션연구소 박사)
김용민 앵커>
앞서 언급한 보도 내용에 따르면 정부가 외국인력 도입을 추진하는 가사관리사 서비스가 자칫 가사·육아인력의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중고령 여성 근로자들의 고용 기회를 박탈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외국인 가사관리사의 필요성, 정부의 입장은 어떤가요?
김용민 앵커>
이번 시범사업의 실수요자인 2~30대 부모들 사이에서는 '신뢰'의 문제가 공통적으로 제기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서비스의 신뢰성과 체계적 관리를 위한 정부의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김용민 앵커>
외국인 가사관리사에게도 최저임금을 적용하기로 하면서 월 200만 원에 달하는 비용 탓에 실효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어떤지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네, 지금까지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과 관련해서 유재웅 한국위기커뮤니케이션연구소 박사와 자세히 짚어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