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소식입니다.
전공의 이탈에 이어 교수들의 휴진으로 환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우리 국민 10명 중 3명은 의료공백 사태 이후 의료기관 이용에 불편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의료계에 대화 참여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전공의들의 현장 이탈 장기화로 의료공백 사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
일부 병원의 휴진까지 이어지면서 국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
소비자시민모임과 한국YWCA의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27.4%, 10명 중 3명 가량이 의료공백 사태 이후 의료기관 이용에 불편을 경험했다고 답했습니다.
병원 예약 연기로 인한 불편을 꼽는 사람들이 39.7%로 가장 많았고, 병원 진료 예약을 하기 어렵다는 불편도 뒤를 이었습니다.
또한 의료 공백 사태로 의료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할까 불안하다는 소비자도 88.4%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의료 이용 시기를 가능한 미루거나 늦추고 있다는 응답도 73% 수준으로 높았습니다.
정부는 의료현장의 혼란을 정상화하고, 갈등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무기한 휴진이 아니라 대화임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녹취> 김국일 / 중수본 총괄반장,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
"의료계가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의정 협의에 참여할 의사를 밝힌 만큼 집단행동보다는 대화의 자리에서 기탄없이 논의해 나갈 것을 요청 드립니다."
또한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통해 환자, 소비자단체 등 사회 각계의 의견을 경청하여 과제를 구체화해 나가고 있다며, 의협과 전공의도 특위에 참여해 의견을 제시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한편, 정부는 어제 제13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비상진료체계 유지를 위한 건강보험재정 1천890억 원의 추가 투입도 결정했습니다.
KTV 최다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