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의 2%를 육박하는 장애인.
과거에 비해 많이 나아지긴 했지만 이들의 생활은 녹록치가 않습니다.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편견 등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현주 기자>
과거 일방적인 지원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부는 지난 6월부터 장애인지원종합대책을 추진중입니다.
이 대책의 핵심은 장애인이 우리 사회의 한 일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우선 장애인의 기본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해 장애수당을 최대 13만원으로 배 가까이 인상하고, 지원 대상도 그간 사각지대에 있던 차상위계층까지 확대했습니다.
또, 장애인의 자립 기반을 만들기 위해 2010년부터 고등학교까지 의무 교육화 하는 방안도 단계적으로 추진됩니다.
장애인이 보다 편리하게 바깥생활을 할 수 있도록 2008년까지 지하철 역사마다 엘리베이터 등 이동편의 시설을 설치하고, 2013년까지 전국 시내버스의 30-50%를 저상버스로 바꿀 계획입니다.
중증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돕는 활동 보조인 서비스도 4월부터 시행 중입니다.
이 밖에, 장애인의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해 국립재활원의 병상을 300개로 확대하고 재활병원도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또, 최근 국회에서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이 통과되었습니다.
이는 모든 생활 영역에서 부당한 차별을 금지할 수 있는 근거규정을 담고 있는 법으로, 장애인들의 숙원이었던 법적 토대 마련의 매듭이 풀린 것으로 평가됩니다.
정부가 다각적으로 추진중인 장애인 대책은 장애인이 비 장애인과 더불어 우리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살아가는 사회의 기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