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그 시절 통근 길, 대머리 총각(1967)

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시절연가 금요일 21시 10분

그 시절 통근 길, 대머리 총각(1967)

등록일 : 2025.04.18 22:25

1943년, 경성부(현 서울시) 청진동에서 태어나 고려대 법과대학을 졸업한 '여자 학사가수 1호' 김상희. 그의 등장은 소위 고전적 트로트 일변도에서 ‘새로운 리듬과 가사의 곡들이 파도처럼 밀려들던’ 1960년대 후반 한국 대중음악의 변화를 상징한다. 특히 이 곡이 남한의 라디오를 통해 38선을 넘어 북한에까지 전파되어 "청와대 습격 남파 무장공비였던 김신조도 당시에 좋아했었다"는 사실은 분단 현실 속에서도 대중음악이 가진 문화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됐다. 전차를 타고 통근하는 아침 8시, 한 아가씨가 매일 마주치는 대머리 총각을 흠모하는 내용을 담은 이 노래는 당시 서울의 도시 풍경과 청춘들의 로맨스를 생생하게 담아냈으며 심지어 동명의 영화 제작으로 이어지기까지 했는데... 지금까지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김상희 씨를 만나보자.

# 오프닝 및 소개
- <대머리 총각>의 원곡 가수인 김상희
- KTV <리사이틀 인생쇼>의 진행자로 활약

# 주제곡 <대머리 총각(1967)> 소개
- 1960년대 말까지 서울 시민의 발이 되어주었던 '전차’
- 노래는 당시 남성들의 로망이었던 전차 속 로맨스를 담은 곡

# 1960년대 서울의 교통 상황은?
- 1960년대 후반은 도시화로 서울 인구가 급증하던 시기
- 당시 전차가 주요 대중교통 수단이었지만 늘어나는 시민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워 버스가 도입됨.
- 당시 전차에 사람이 매우 많아 차장이 승객을 밀어 넣기도
- 서울의 전차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많이 소실되었고, 남은 전차도 노후화. 잦은 사고와 택시·버스와의 충돌로 전차가 교통 혼잡의 원인이 됨.
- 점차 전차가 사라지고 버스로 대체. 결국 전차는 1968년 폐지.

# 전차를 주제로 한 노래들
- 차은희 <서울의 전차 차장(1960년 추정>
- 은방울자매 <마포 종점(1968)> 특히 '마포 종점'은 전차 폐지 이후의 쓸쓸함을 담아 큰 인기

# 영화 <대머리 총각(1968)>
- 백수 건달인 남자 주인공이 부잣집 아가씨와 결혼하여 성공하는 내용
- 착하고 성실한 사람이 복을 받는다는 주제

# 가수 김상희의 단발 뱅 스타일
- 당시 주요 수출품 중 하나였던 가발
- 김상희의 이름이 붙어 ‘김상희 스타일’이라 수출되기도
- 사랑받았던 다른 곡 <단벌신사(1968)>, <경상도 청년(1966)>, <울산 큰 애기(1965)>

# 작곡가 정민섭
- 만화 주제가 <빨간 머리 앤>, <개구리 왕눈이> 등을 작곡한 유명음악가 정민섭

# 그 시절 유행한 장르 ‘만요’
- 유쾌하고 해학적인 가사
- 박향림 <오빠는 풍각쟁이(1938)>, 한복남 <빈대떡 신사(1950)>

# 마무리
- 전쟁이 끝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기,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소소한 웃음을 주던 노래 <대머리 총각>.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