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공 식품과 외식 물가가 오르면서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요.
정부는 '농식품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대응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최유경 기자>
4월 소비자물가 조사에서 가공식품은 지난해보다 4.1%, 외식은 3.2%가 상승했습니다.
소비자는 물론 식품 업계의 원재료 구입 부담까지 커지는 상황.
정부가 농식품 수급 안정을 위한 대응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식료품 할당관세 적용과 원료 구매자금 지원 등 업계 부담 완화 조치를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또 추경으로 확보한 1천200억 원의 할인지원 예산을 가정의 달 등 성수기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녹취> 홍인기 /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
"추경으로 확보한 할인지원 예산 1천200억 원에 대해서는 가정의달 그리고 여름 휴가철, 추석, 김장철 등 성수기에 집중 투입해서 체감 물가를 낮추는 등 수급과 가격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외식비는 배달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추진합니다.
공공앱을 통해 2만 원 이상 3회 주문 시 1만 원의 할인쿠폰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오는 6월 말 지급 예정이며, 650만 명 정도가 수혜를 볼 전망입니다.
지난해보다 5% 가까이 오른 축산물은, 가공용 원료육 1만t에 할당관세를 적용해 국내 공급을 늘립니다.
가정의 달 축산자조금을 활용한 주요 유통업체 할인행사도 이어집니다.
농산물은 봄작형 채소류 생산 증가로 1.5% 하락하는 등 비교적 안정세라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
사과와 배 등 과일류는 햇과일이 출하되는 7월까지 가격 안정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손윤지)
정부는 가격 담합 등 불공정 거래행위가 의심되는 경우 관계부처와 함께 강도 높은 조사와 처벌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