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오는 10월부터 외국산 자동차 운반선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우리 정부가 정책 재검토 요청을 담은 의견서를 미 무역대표부에 제출했는데요.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미국은 지난 4월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자국 조선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오는 10월 시행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지난 4일 공식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미 무역대표부(USTR)에 제출했습니다.
의견서에는 이번 조치가 자동차 등 관련 산업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미 자동차 품목관세가 부과되는 상황에서 입항 수수료까지 더해지면 기업에겐 이중 부담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수수료 부과 대상을 원래 겨냥한 국가로 제한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중국을 직접 거론하진 않았지만, 중국 기업이나 중국산 운반선으로 한정하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전화 인터뷰> 양창호 / 한국해운협회 상근부회장
"미국에서 조치하는 것은 중국 선박에 대한 지배력 강화를 완화시키고자 한 건데, 실제로는 모든 외국 자동차 운반선에 항비를 부과하겠다는 것이거든요. 이건 당초 목적에도 부합되지 않고, 공적으론 자동차 국제무역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입항 수수료 부과 횟수 상한을 두자는 의견도 담았습니다.
한 해 미국에 여러 차례 입항하는 경우가 많은 산업 특성을 고려해 선박당 연 5회 제한해달라고 전했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한국 자동차 기업들이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약속한 투자를 이행했고, 2기 들어서도 210억 달러의 추가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