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우 상황 취재기자와 조금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최다희 기자, 인명 피해 현황부터 짚어보죠.
최다희기자>
네, 지난 16일부터 닷새간 이어진 폭우로 사망자가 18명, 실종자가 9명 발생했습니다.
행정안전부의 국민안전관리 일일상황보고에 따르면 전날 오후 9시 기준, 지역별 사망자는 산사태가 발생한 경남 산청이 10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경기 4명, 충남 3명, 광주에서 1명이 사망했습니다.
실종자도 많았는데요.
경남 산청에서 토사에 매몰된 것으로 추정되는 실종자만 4명입니다.
경기 가평에서도 4명, 광주 북구에서도 1명이 실종됐습니다.
전국 곳곳에서 수색 작업이 진행 중인 만큼 인명피해 현황은 앞으로 달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비 피해 우려에 몸을 피한 주민들도 많은데요.
전국 15개 시도에서 1만4천166명이 집을 떠났는데 20일 오후 기준, 2천6백여 명은 복귀하지 못하고 임시주거시설에 머무르고 있는 상태입니다.
김경호 앵커>
실종자 수색 상황을 조금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시설물과 문화재 피해 현황은 어떻습니까?
최다희 기자>
20일 오후 기준, 공공시설의 피해가 약 2천 건에 달했습니다.
도로가 침수되는 피해가 770건 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하천시설의 붕괴와 토사유실 등 피해가 있었습니다.
또한 사유시설의 피해도 2천 건을 넘어섰는데요.
1천800여 건의 건축물이 침수되고, 73건의 농경지가 침수됐습니다.
문화재 피해도 잇따랐는데요.
21일 오전 기준, 국가유산 피해는 총 14건으로 확인됐습니다.
경남 산청에서 보물 '산청 율곡사 대웅전' 건물이 산사태로 파손돼 사찰 관계자가 대피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경기 남양주의 봉선사에서도 소나무가 쓰러져 큰법당 뒤편 일부가 훼손돼 현재 복구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발령해 운영 중인데요.
피해 현장에 대한 긴급 조치와 함께 순차적인 복구 작업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김경호 앵커>
정부 대응도 더 자세히 짚어보죠.
앞서 리포트에서도 특별교부세가 언급됐는데, 구체적인 지원 규모는 어떤가요?
최다희 기자>
네, 맞습니다.
행정안전부는 호우로 피해를 입은 광주광역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 55억 원을 추가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17일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25억 원을 지원한 이후 2차 지원에 나선 건데요.
재난특교세는 피해시설의 이재민 구호와 피해시설 응급복구 등 긴급 안전조치에 주로 사용될 계획입니다.
또한 '피해자 통합 지원센터'를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충남과 경남 광주·전남 3개 권역에서 운영되며 민원 접수와 장례 지원 의료·심리지원 등 각종 피해 지원사항을 통합 안내·접수합니다.
이외에도 행안부는 활용 가능한 수단을 최대한 동원해 피해 지역 주민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지방재정 관련 지원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구호물품과 임시 주거시설 지원 등 긴급한 피해 복구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예비비 또는 재난관리기금 등 즉시 동원 가능한 재원을 적극 활용하도록 지방자치단체에 안내했습니다.
지방세제와 관련된 지원도 마련됐습니다.
호우로 인해 멸실·파손된 자동차에 대해서는 자동차세, 멸실·파손된 자산을 다시 취득하는 경우, 취득세와 등록면허세가 면제됩니다.
또 피해 주민의 취득세와 지방소득세 등 지방세 납부기한을 최대 1년까지 연장하거나, 지방세 부과액·체납액 징수를 최대 1년까지 유예하는 등의 혜택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이번 주부터 지급이 시작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해서는 임시주거시설로 '찾아가는 서비스'를 적극 운영하도록 요청했습니다.
호우 피해 복구 지원과 관련해서는 육군이 긴급 투입돼 대민 지원에 나서고 있는데요.
육군은 21일까지 병력 2천500여 명을 투입해 광주와 충남, 경남 지역에 대한 지원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김경호 앵커>
네, 지금까지 호우 상황 살펴봤습니다.
최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