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들은 한달에 한권 정도 책을 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책을 읽는 인구와 읽지 않는 인구의 양극화 현상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됐습니다.
강석민 기자>
우리나라 성인들은 보통 1년에 12권 정도의 책을 읽어 한달에 1권은 읽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0년간의 최고 기록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이 성인 천명과 학생 3천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성인은 2년 전에 비해 연평균 1권을, 학생들은 4권 정도를 더 읽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늘어난 독서량에 비해 독서 인구의 수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전체 독서량은 연평균 14.4권에서 15.6권으로 늘었지만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의 비율도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성인 4명 중 한명은 여전히 1년에 한권도 책을 읽지 않았으며 한권이라도 읽는 비율도 지난 10년간 성인이나 학생 모두 꾸준히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우리 국민의 독서 양극화 현상이 심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도서 구매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횟수가 가장 많았으며 특히 도서내용 검색 서비스는 성인 3분의 1일 이상이 이용할 정도로 활성화 됐습니다.
또한 각종 도서관이 증설 되면서 국민의 3명 중 1명은 공공도서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교 도서관 이용률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사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독서시간이 10년 전에 비해 5분에 1로 크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며 다매체 환경에서 독서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