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의 인력공급체제 개편으로 우리 항만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습니다.
동북아 물류 중심 구현에도 한걸음 더 다가서게 됐습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항운노조가 독점 공급하던 부산항의 항만노무인력이 하역회사별 상시고용체제로 바뀝니다.
부산항 북항 중앙부두와 감천항 부두 등에서 일하는 항운 노조원 천여 명은 찬반투표에서 노조 대신 각 부두 운영회사가 노동자를 상시 고용하는 내용의 인력 공급체제 개편 협약서를 77%의 찬성률로 가결시켰습니다.
협약서가 항운노조원의 찬반투표에서 통과됨에 따라 구체적인 임금수준과 후생복리, 작업형태 등을 확정하기 위한 개별협상 후 내년 1월1일부터 정규직인 하역회사별 상시고용체제가 본격 도입됩니다.
이에따라 항운노조원은 항만물류기업의 정규직원으로 근로기준법 등 노동관련 법령의 적용을 받게 돼 법적,사회적,경제적 지위가 향상됩니다.
항만물류기업은 인력관리 등 부두운영에 대한 자율성 확대로 물류비가 절감되고, 장비현대화를 촉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 항만생산성도 향상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상용화 체제가 정착되면 항만하역에 투입되는 인력이 30~40%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항만물류기업은 물론 해운기업과 화주의 물류비용 절감으로 연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부산·인천항의 경우 30% 인력을 줄이면 연간 500억원의 물류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선박의 항만 내 체류시간을 크게 줄여 해운기업, 화주 등 항만이용자는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대만처럼 선박의 항내 체류시간을 약 14% 줄이면 부산,인천항은 연간 약 271억원의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항만 노무공급 체계 개편으로 우리항만에 대한 대외신인도가 향상돼 외국선사의 신규유치는 물론 다국적 물류기업의 투자유치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동북아 물류 허브 경쟁에서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tv뉴스 김현아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