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놓은 이번 부동산시장 안정화방안에 따르면 주택공급에 있어 공공부문의 역할도 지속적으로 확대됩니다.
김현아 기자>
부동산시장 안정화방안에 따르면 신도시 등 공공택지에서 86만 7천 가구, 민간택지에서 77만3천 가구를 공급하는 등 올해부터 2010년까지 수도권 지역에 164만가구의 주택이 공급됩니다.
연도별로는 2007년 29만7천 가구, 2008년 39만2천 가구, 2009년 36만4천 가구, 2010년 40만3천 가구가 공급되는데 연평균 36만 4천 가구에 이릅니다.
매년 수도권에서 필요한 주택수요는 30만 가구.
내년까지는 다소 공급이 부족하지만 2008년 이후에는 연간 36만~40만가구의 주택이 공급돼 집값 안정세가 정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 들어설 김포와 파주, 송파 등 신도시의 평균 용적률을 175%에서 191%로 헥타르 당 인구밀도는 118명에서 136명으로 높이고 녹지비율은 31.6%에서 27.2%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용적률 확대로 10만 가구가 늘어나는데 이중 신도시에서 공급되는 물량은 4만 3천 가구. 송파 3,100가구 검단 1만 가구, 광교 9,900가구, 파주 5800가구, 양주 8000가구 등입니다.
또한 조기 공급 물량은 2만 5천 가구 늘려 공공택지 내 공급물량 12만 5천 가구가 증가합니다.
민간부문의 경우 서울 재정비촉진지구와 뉴타운, 인천 경기 재정비지구에서 20만 가구를 확보하고 인천경제자유구역에서도 10만가구의 주택을 공급한다는 방침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