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4차 협상 둘째날인 24일 어제 파행을 빚었던 상품분과의 협상이 재개되는 등 14개 분과에서 회의가 정상적으로 진행됐습니다.
또 조금 전에는 한미 FTA 민간대책위원회 주재로 양국 협상단을 위한 환영 리셉션이 개최됐습니다.
Q> 먼저 협상 상황부터 알아볼까요? 어제 파행을 빚은 상품 분과는 협상이 재개 됐죠?
A> 23일 결렬됐던 상품 분야 협상이 오전에 재개돼 한미 FTA 4차 협상이 정상궤도에 올랐습니다.
미국이 당초 수정안에서 개방폭을 넓힌 추가 양보의사를 우리측에 전달한 데 따른 겁니다.
농업의 경우 24일은 특별 세이프 가드의 대상 품목 발동 요건과 존속기간 등 세부사항에 대해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하지만 우리 측 수정 개방안은 아직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늘 처음 열린 무역구제 분과에서 우리 측은 미국 측의 반덤핑 조치 남발에 대한 실질적인 개선을 촉구했습니다.
무역구제는 한미fta가 연내에 타결될지 여부를 가르는 중요한 분수령이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Q> 조금 전 협상에 참가하고 있는 양국 협상단을 위한 리셉션이 개최됐다구요?
A> 이번 리셉션은 한미 FTA 민간대책위원회 주최로 개최된 것입니다.
김종훈 우리측 수석대표와 웬디커틀러 미국측 대표 등 30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김종훈 수석대표는 민감 분야에서 쟁점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민감한 쟁점들을 놓고 두나라가 이견을 좁히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며 유연성을 갖고 수용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여러차례 보도된 것처럼 양국이 진전을 위해 조금씩 노력하자는 데 뜻을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웬디 커틀러 미국측 대표도 협상의 합의점을 찾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이번 주말에 좋은 소식을 들려줄 수 있길 기대 한다고 말습니다.
Q> 한편, 협상장 인근에서는 반대시위도 있었죠? 상황을 좀 전해주시죠.
A> FTA 협상을 반대하는 집회가 협상 이틀째를 맞아 다소 격렬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농어민과 시민단체로 구성된 시위대 3천여명은 24일 오전 중문시내에서 협상저지 결의 대회를 가졌습니다.
결의대회를 끝낸 시위대는 산발적으로 협상장 집입을 시도 하기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위대와 경찰 10여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또, 저녁에는 중문 관광단지와 제주시청에서 동시에 FTA 반대 행사가 진행됐습니다.
경찰은 행사장 주변에 만여명의 경찰을 투입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경계 태세를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