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안정적인 노후 대비를 위한 방안은? [연금개혁 A to Z]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안정적인 노후 대비를 위한 방안은? [연금개혁 A to Z]

등록일 : 2023.08.08 11:43

김용민 앵커>
통계에 따르면 생애 의료비 절반이 65세 이후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노후 의료비 부담이 커지는 만큼, 노후 소득원 확보가 더욱 중요한데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있어 노후빈곤율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이제는 개인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과제이기도 합니다.

윤세라 앵커>
오늘은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안정적인 노후 대비를 위해 어떤 방안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자세한 내용,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이기일 / 보건복지부 제1차관)

김용민 앵커>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라고 다들 알고 계실 텐데요.
우선, 현재 노인층의 경제상황은 어떤가요?

윤세라 앵커>
앞서 차관님께서 기초연금이 노인 생활 안정과 빈곤 해소를 위해 도입되었다고 하셨는데요.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기초연금을 언제 도입했고, 어떻게 운영되어 왔는지 자세히 설명해주시겠어요?

김용민 앵커>
기초연금 도입으로 어르신들 생활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 같은데요.
현재 기초연금 지급 수준과 실제로 노인빈곤율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궁금한데요.

윤세라 앵커>
이와 함께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인 기초연금 40만 원 인상은 어떻게 추진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노인빈곤 문제, 워낙 중요한 문제이니 국가 차원에서도 기초연금 외에 다른 대책이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윤세라 앵커>
중위소득이 오른 만큼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얼마나 많은 분들이 더 혜택을 받게 될까요?

김용민 앵커>
공적연금과 소득지원 외에도 어르신들의 일자리 확보를 통한 노후소득 보장 또한 중요한 일이라 생각되는데요.
이와 관련해 정부는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나요?

윤세라 앵커>
베이비붐 세대가 이제는 노년층으로 진입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노인일자리도 그에 맞춰 새롭게 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정부의 정책 방향은 무엇인가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