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혼란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번 유심 해킹 사태에서 가장 불안한 점이 바로 '금융사고'입니다.
혹시나 내 휴대전화가 해킹당하지 않을까, 나도 모르게 통장에서 돈이 빠져나가지 않을까, 걱정하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이런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대출이나 카드론, 신용카드 발급 등 개인의 신규 여신 거래를 막아두는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인데요, 이 서비스에 가입하면 은행, 증권, 보험 외에도 모든 금융회사의 신규 여신 거래가 차단됩니다.
만약 피싱범이 신규 대출을 내거나 카드를 개설하려고 해도 한국신용정보원에 정보가 등록돼 여신거래가 이뤄지지 않게 되는 거죠.
'안심차단'을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분들은 거래 중인 은행이나 금융사를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다만, 대출 등 신규 금융거래가 필요할 때도 직접 영업점에 가야 합니다.
거래 은행이 아니더라도 가까운 금융사 어디든 방문해 해제할 수 있고요, 금융사 직원이 대면으로 본인 확인하기 때문에 전화금융사기나 명의도용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내 정보를 이용해 나도 모르는 새에 내 계좌가 개설되고, 이 계좌가 대포통장으로 이용되는 게 걱정된다면,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를 신청하면 됩니다.
자신의 수시입출식 계좌가 나도 모르는 새에 비대면으로 새로 개설되지 않도록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인데요, 이 서비스에 가입하고 싶다면 거래하고 있는 금융사 영업점을 직접 방문해도 되고요.
모바일뱅킹이나 인터넷뱅킹, 금융결제원 등의 비대면 채널을 통해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서비스에 가입한 후에 수시입출식 계좌를 개설하고 싶을 땐 기존 거래 여부와 관계없이 가까운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해 해제하면 되는데요, 해제와 동시에 계좌 개설도 가능합니다.
그런가 하면, 본인 이름으로 핸드폰을 추가적으로 개통되지 않도록 막는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에 가입하는 것도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중 하나인데요,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는 통신서비스가 새롭게 개통될 때마다 가입 사실을 명의자에게 문자메시지나 이메일로 통보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엠세이퍼 사이트나 패스(PASS), 카카오 뱅크 앱 등을 통해 내 명의로 개통된 휴대전화를 조회하고 추가 개통을 막아둘 수 있습니다.
이번 해킹 사고를 틈타 '유심 교체' 등의 키워드를 내세워 가짜사이트 접속을 유도하는 피싱 사기도 등장해 주의가 필요한데요, 이같은 피싱 문자를 받으면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에 신고하고, 의심스러운 앱이 설치된 경우엔 모바일 백신으로 점검한 후 삭제해야 한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SKT해킹과 같은 사건이 반복되면서, 내 명의로 이루어지는 금융거래와 계좌 개설을 스스로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는데요, 오늘 소개한 보안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소중한 자산과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지키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클릭K 플러스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