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
-
중증·응급 심장수술, 상급종합병원 수준 지원
모지안 앵커>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공백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정부가 대형병원의 환자를 분산할 전문 중소병원의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중증·응급 심장수술 전문병원을 상급종합병원 수준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는데요.이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이혜진 기자>(장소: 지난 9일, 부천세종병원)경기도 부천에 있는 국내 유일의 심장전문병원입니다....
-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시대적 과제, 의료개혁 [클릭K+]
변차연 기자>안녕하세요~ '클릭 K 플러스'입니다.지난해 5월, 5살 어린이가 응급실에 자리가 없어 뺑뺑이를 돌다가 결국 사망하는 일이 있었죠.진료를 보기 위해 새벽부터 찾아가 번호표를 받는 이른바 '소아과 오픈런'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데요.인터뷰>"병원 오픈 시간에 맞춰서 아픈 아이를 데리고 가면 줄이 길게 서 있어요. 그러면 2~3시간 기본으로 기다...
-
"의료개혁, 국민·의료진 '윈윈'···전문병원에 더 확실한 보상"
변차연 앵커>지난달부터 매주 병원을 찾아 의료 현장 상황을 직접 챙기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9일)는 경기도 부천에 위치한 한 심장전문병원을 방문했습니다.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의료 개혁이 국민과 의료진 모두를 위한 거라고 강조하고 필수 중증 의료분야에 더 확실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습니다.최영은 기자입니다.최영은 기자>(장소: 9일, 부천세...
-
40개 의대 중 16곳 개강···이달 내 수업 정상화 전망
최대환 앵커>전체 40개 의과대학 가운데 16곳이 미뤄왔던 수업을 재개했습니다.나머지 의대들도 개강을 앞두고 있거나,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는데요.녹취> 오석환 / 교육부 차관"다음주부터는 총 40개 의과대학 중 80%에 해당하는 32개의 대학이 수업 운영을 정상화하게 됩니다."정부는 의대생들의 조속한 복귀를 독려하는 한편, 의학교육 정상화를 ...
-
의대 수업 정상화 관련 긴급 브리핑 (24. 04. 09. 10시)
의대 수업 정상화 관련 긴급 브리핑 (24. 04. 09. 10시)오석환 / 교육부 차관(장소: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
-
"의대 증원 1년 유예 검토 계획 없다"
김용민 앵커>대통령실이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를 1년 유예하자는 대한의사협의회의 제안을 일축했습니다.대통령실은 "정부는 그간 검토한 바 없고, 앞으로 검토할 계획도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강민지 앵커>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박성욱 앵커, 나와주세요.박성욱 앵커>네, 서울 스튜디오입니다.의과대학 입학 정원에 대한 정부 입장과 그밖의...
-
"의대증원 1년 유예 검토한 바 없고, 계획도 없어"
최대환 앵커>정부가 의대정원 증원을 1년 유예하는 방안은 검토한 적이 없고, 검토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습니다.또, 2천 명 증원은 과학적 근거 아래 의료계와 충분히 논의한 결과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정부가 대한의사협회의 '의대정원 증원 1년 유예' 제안에 검토한 바 없으며, 검토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습니다.정부는 오전 브...
-
14개 의대 수업 정상화···"유급 사태 없도록 설득"
최대환 앵커>한편 수업을 거부하는 의대생들이 무더기로 유급할 위기에 놓인 가운데, 14개 의과대학이 개강을 단행했습니다.다음주에는 수업을 운영하는 의대가 더 늘어날 전망인데요.정부는 집단 유급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의대생들과 대화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김경호 기자입니다.김경호 기자>전북대와 경북대 등 일부 의과대학이 수업을 시작했습니다.수업을...
-
전국 병·의원 15일부터 건보 비급여 항목 보고
최대환 앵커>오는 15일부터 동네의원을 포함한 모든 의료기관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을 보건당국에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합니다.불필요한 진료비 부담을 줄이고,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를 강화하겠다는 취지입니다.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이혜진 기자>비급여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비용을 전액 부담하는 진료 항목입니다.민영보험인 개인 ...
-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긴급 브리핑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긴급 브리핑박민수 / 중대본 제1총괄조정관 (보건복지부 2차관)(장소: 정부세종청사 브리핑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