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세한도' 공개···코로나19 속 희망 주는 특별전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세한도' 공개···코로나19 속 희망 주는 특별전

등록일 : 2020.12.02

이주영 앵커>
코로나 사태로 모두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데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희망을 주는 특별한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추사 김정희의 걸작인 '세한도'가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는데요.
박예슬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예슬 국민기자>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시 용산구)
전시장에 들어서자 펼쳐지는 어둡고 좁은 길,

[세한의 시간 / 장 줄리앙 푸스 감독]
그 길을 따라 보이는 삭막하고 고요한 영상, 제주도로 유배를 갔던 추사의 좌절과 희망이 섞인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했는데요.
세계적인 영상 감독 장 줄리앙 푸스가 제작한 것입니다.

[세한도 (국보 제180호)]
이어서 보이는 그림은 바로 추사의 걸작인 국보 '세한도'.
지난 1844년 유배지에서 그린 것입니다.
추사를 위로해 준 것은 제자 이상적이 한결같이 보냈던 서책, 제자의 변함없는 의리를 한겨울 추위 속에도 푸르름이 변하지 않는 소나무와 잣나무에 비유해 그 고마움을 표현한 것인데요.
손창근 씨의 기증으로 14년 만에 공개됐습니다.

인터뷰> 조정국 / 서울시 금천구
"세계적인 문화유산을, 원본을 직접 볼 수 있다는 마음으로 왔는데 역시나 아주 감동적입니다."

장무상망 (長毋相忘)
오래도록 서로를 잊지 말자

'세한도'에는 '장무상망'이라는 인장이 찍혀있는데요.
'오래도록 서로를 잊지 말자'라는 뜻으로 두터운 우정이 엿보이는 그림에 관람객들이 감탄합니다.

인터뷰> 김윤정 / 경기도 고양시
"응원해 주고 격려해 주고 지지해 주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는 그런 시간들을 충분히 이겨낼 수 있겠다'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세한도'는 원래 가로 69.2cm, 세로 23cm 크기.
그림을 보고 감동한 청나라 문인 16명의 글과 우리나라 서화가인 오세창 등 4명의 글이 붙어 길이 10m가 넘는 두루마리 대작이 됐습니다.

인터뷰> 오다연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사
"세한과 송백의 의미를 문학적으로 아름답게 풀고 있는 청나라 문인들의 시, 그리고 그 이후에 우리나라 사람 4인이 적은 시까지 더해져서 세한도는 역사적으로도 그리고 예술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힘든 나날을 견디는 우리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마련한 이번 특별전, 한겨울 추위를 뜻하는 세한도와 함께 봄날 같은 '평안감사 환영 잔치'라는 그림도 선보였는데요.

[평안감사 환영잔치 / 김홍도 작 추정]
모두 석 점의 그림인 '평안감사 환영잔치'를 미디어 아트로 구성했는데요.
평안감사가 평양에 도착해 만나게 되는 대동문 앞 저잣거리를 보여주는 첫 그림, 활기 넘치는 인물들을 애니메이션으로 형상화했습니다.

인터뷰> 임솔 / 서울시 서대문구
"옛날 잔치의 모습을 무용 공연이나 미디어 아트를 통해서 마치 실제 그 안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어 굉장히 좋은 전시였고요."

부벽루에서 평양 기생들이 춤추는 모습을 그린 두 번째 그림, 실제 무용수들이 추는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달밤의 뱃놀이]
마지막 그림은 대동강에서 열린 밤의 잔치 모습으로 어두운 강가에서 아름다운 횃불로 뒤덮이는 과정을 영상으로 보여줍니다.

인터뷰> 양승미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과 학예연구사

"무려 2,509명이라는 매우 많은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평안감사를 환영하는 잔치 속에 이 잔치를 보러 모인 사람들.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는..."

'유배와 잔치'라는 상반된 두 그림, 코로나19 시기를 함께 극복하면 행복한 시간이 찾아올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촬영: 강정이 국민기자)
'세한도' 공개와 함께 특별히 마련된 이번 전시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한 번에 50명씩만 입장이 가능한데요.
내년 1월까지 계속될 예정입니다.

박예슬 국민기자
"이제 우리 국민 곁에 영원히 있게 된 추사의 걸작 세한도. 추운 겨울에도 시들지 않는 그림 속 소나무와 잣나무같이 변치 않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기억될 것입니다."

국민리포트 박예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