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우리는 늘 선을 넘지' 전주국제영화제 성황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우리는 늘 선을 넘지' 전주국제영화제 성황

등록일 : 2025.05.16 13:12

육서윤 앵커>
독립·예술 영화 축제인 전주국제영화제가 열흘 간의 일정으로 열렸습니다.
전 세계 57개 나라의 영화 224편을 선보인 이번 영화제는 경계와 장르를 넘나들고 시대를 아우르는 많은 작품을 선보여 관심을 모았는데요.
이 소식 최호림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최호림 국민기자>
(장소: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 전북 전주시)

소리문화의전당 앞 레드카펫, 영화제에 참석한 국내외 배우와 영화계 인사들이 입장합니다.
스크린과 브라운관에서 깊은 인상을 남긴 배우들과 무장벽 영화를 위해 만들어진 브랜드 '가치봄'의 앰버서더로 선정된 배우 김보라, 올해의 프로그래머인 배우 이정현이 관객들을 만납니다.

인터뷰> 이정현 / 전주국제영화제 올해의 프로그래머, 배우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올해의 프로그래머로 뽑히게 되어서 제가 너무 좋아하는 영화들을 관객분들과 함께 볼 수 있어 정말 기쁩니다."

개막작은 베를린국제영화제 은곰상 각본상을 수상한 <콘티넨탈 '25> 루마니아 감독 라두 주데의 신작으로 전 장면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작품입니다.

현장음>
"저는 에스테르 톰파입니다~"
"저는 아도니스 탄차입니다"

인터뷰> 전진수 /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휴대폰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영화를) 완성했습니다. 여러 대를 사용한 것도 아니고 한 대의 기종만 가지고 장편 영화를 만들었기 때문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질이 굉장히 좋아서..."

(장소: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 전북 전주시)

'대중성과 실험성 사이에서'란 주제로 배창호 감독의 특별전도 진행됐는데요.
10여 차례 전주국제영화제에 참여한 배창호 감독은 리마스터링된 자신의 대표작 4편과 함께 그의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배창호의 클로즈업>이 공개됐습니다.

인터뷰> 배창호 / 영화감독
"처음에 시작했을 때 대안영화제, 영화의 독립 정신을 아직도 지켜나가는 것 같아서 반갑고요. 제가 40여 년간 18편의 영화를 만들었는데 그 18편에 나오는 장소들이 상당히 다양하고, 그 공간들을 통해서 저의 지난 작품들을 반추해보며 관객과 같이 기억도 나누고 새로운 분들에게 알리고 싶은 마음으로 만들게 되었습니다."

(장소: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 전북 전주시)

영화제에는 폐막작 '기계의 나라에서'를 비롯해 이주 노동자와 이민자의 삶을 주제로 한 작품이 특히 눈길을 끄는데요.
캐나다 이민자 출신 <제롬 유> 감독의 <잡종>은 위기의 한 이민 가정의 살아가는 모습을 독특하게 연출해 관객들에게 인상을 남겼습니다.

인터뷰> 남단우 / 영화 잡종 '이하준' 역
"'잡종'은 캐나다로 이민 간 세 명의 가족이 어머니를 잃고 난 다음에 일어나게 되는 가족에 대한 유대감, 그리고 타지에서 이민 생활을 하면서 겪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입니다."

인터뷰> 김재현 / 영화 잡종 '이광선' 역
"수많은 혼란한 의식을 가지고 먹고살기 위해서 개들을 죽이지만, 개들과는 자연적으로 무언가 소통이 되는데 사람과는 소통 못 하는 그런 삶의 끝에 몰린 아버지의 역할이거든요."

새로운 도전의 의미를 담은 '우리는 늘 선을 넘지'를 주제로 전 세계 57개 나라에서 모인 224편의 영화가 전주의 극장과 야외무대를 채운 국제영화제는 전체 상영작 예매율이 85%를 넘어섰고 축제 방문객이 7만여 명이 이를 정도로 성황을 이뤘습니다.

인터뷰> 정준호 / 전주국제영화제 공동집행위원장
"호스트가 돼서 배우들과 감독·작가·영화 관계자를 초청하는 입장으로 하다 보니까 정말 특별한 경험을 했습니다. 지역민들의 세금으로 영화제를 운영하여 기존의 정체성은 잘 유지하면서 대중성 확보 차원으로 더 영화를 편안하고 즐겁게 볼 수 있도록 우리 영화제에서만큼은 선을 넘어가면서까지..."

(취재: 최호림 국민기자)

스물여섯 해를 이어오면서 성장한 전주국제영화제는 독립·대안 영화의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면서 우리 영화 산업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최호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