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최신뉴스
-
새 정부, 첫 경기 진단···"하방 압력 여전"
임보라 앵커>기획재정부가 새 정부 들어 처음 내놓은 경기 진단에서 하방 압력이 여전하다고 평가했습니다.주요 원인으로는 대외 여건 악화와 내수 회복 지연을 꼽았습니다.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정부가 '최근 경제 동향', 이른바 그린북 6월호에서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하다"고 평가했습니다.지난 1월 이후 6개월 연속 경기 둔화 표현을 이어가고 있는 겁니...
-
이스라엘, 이란 공습···이 대통령 "우리 국민 안전 중요"
임보라 앵커>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 등을 공습했습니다.이재명 대통령은 즉각 안보경제 긴급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우리 국민의 안전을 강조했습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장소: 13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이란의 수도인 테헤란, 곳곳에서 화염과 연기가 솟아오릅니다.건물들은 불타고 파손됐습니다.이스라엘이 현지시간 13일 새벽, 이란 핵 시설 등을 공습...
-
미, 냉장고·세탁기에 50% 철강관세 부과
임보라 앵커>미국 행정부가 냉장고와 세탁기 등에 사용된 철강에도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국내 가전업계 수출에 타격이 예상되는데요.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조태영 기자>미국 정부가 현지시간 12일, 철강 파생제품에 대한 관세 확대를 발표했습니다.냉장고, 세탁기, 오븐, 음식물 처리기 등 주요 가전제품이 포함됐습니다.이번 조치는 지난 3월부터 시행된 철강 ...
-
불법 환전업체 61곳 적발···"행정제재 엄정 적용"
임보라 앵커>환전 장부를 허위로 작성해 불법 영업을 해 온 국내 환전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관세청은 시중 환전소가 외환 범죄의 창구로 변질하지 않도록 집중단속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보도에 이리나 기자입니다.이리나 기자>환전 거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거나 불법 환치기 등을 일삼은 불법행위 환전소 61곳이 적발됐습니다.관세청이 고위험 일반 환전소 1...
-
중국 개인정보 유출 보도에···금감원 "스미싱 피해 주의"
임보라 앵커>중국에서 사상 최대 규모인 40억 건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금융감독원은 "국내 개인 신용정보 등 유출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는데요.실제 유출 사고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한편, 불안심리를 악용한 스미싱 피해를 주의하라고 안내했습니다.김찬규 기자입니다.김찬규 기자>홍콩 성도일보는 해외 보안 전문매체 '사이버뉴...
-
칫솔·문신용 염료 '위생용품' 지정···안전관리 강화
임보라 앵커>칫솔 등 구강관리용품과 문신용 염료가 '위생용품'으로 지정됩니다.해당 제품의 안전 관리가 한층 더 강화되는데요.신경은 기자입니다.신경은 기자>오는 14일부터 칫솔, 치실 등 구강관리용품과 문신용 염료가 '위생용품'으로 지정됩니다.해당 제품의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전화 인터뷰> 한연경 / 식품의약품안전처 위생용품정책과장 "제품을 ...
-
빵 섭취 후 200여 명 '살모넬라' 집단 식중독
임보라 앵커>급식에서 제공된 빵을 먹고 집단 식중독에 걸리는 사례가 최근 4건으로 늘었습니다.현재까지 유증상자는 208명인데요. 보건당국은 추가 증상자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정유림 기자입니다.정유림 기자>집단급식에서 제공된 빵을 먹은 후 식중독에 걸리는 사례가 최근 확산되고 있습니다.앞서 지난달 15일, 충북 청주와 진천의 집단 급식소에서 식사를...
-
FT / 6.12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결 기대 [외신에 비친 한국]
박유진 외신캐스터>외신에 비친 한국, 첫 번째 소식입니다.1. FT / 6.12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결 기대한국 증시가 3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이를 두고, 외신은 새 정부의 개혁 기대감이 저평가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분석했는데요.<파이낸셜 타임스>의 보도입니다.<파이낸셜 타임스>는 한국의 새 정부가 기업 지배구조 개혁을 주도하고 ...
-
오늘의 증시 (25. 06. 13. 16시)
오늘의 증시
-
고령화 사회의 그늘 노인학대 피해 실태와 대응법은? [잘 사는 법]
노인학대 피해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가정, 시설 내 사적인 문제로 취급되며 그 심각성이 과소평가 되고 있는 현실이다. 노인 인권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피해자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변호사와 함께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