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최신뉴스
-
이 대통령 "방산 4대 강국 실현"
김용민 앵커>이재명 대통령이 첫 '방위산업의 날'을 맞아 방산 4대 강국 도약 의지를 밝혔습니다.방산 육성을 위한 컨트롤타워를 신설하라고 지시했는데요.김현지 앵커>트럼프 대통령 관세 번복으로 정부는 긴급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자세한 내용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살펴봅니다.차현주 앵커!차현주 앵커>네, 대담 이어가겠습니다.국무회의 주요 내용과 관세 관련 소식...
-
대통령실 브리핑 (25. 07. 09. 10시)
대통령실 브리핑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장소: 대통령실 브리핑룸)
-
트럼프, 의약품·구리 고율 관세 경고 [월드 투데이]
박유진 외신캐스터>월드투데이입니다.1. 트럼프, 의약품·구리 고율 관세 경고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의약품과 반도체, 구리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방침을 잇따라 발표했습니다.먼저, 수입 의약품에 대해서는 최대 2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그러면서, 제약사들을 향해 1년에서 1년 반의 준비 기간을 줄 것이라고 말했는데요.제약사들이 자국 생...
-
새 정부 에너지 정책 대전환, '에너지고속도로' 실현한다
차현주 앵커>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전환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새 정부는 전국을 하나의 에너지망으로 잇는 '에너지고속도로'를 국정과제로 내세웠는데요.자세한 내용,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안녕하세요.(출연: 석광훈 /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차현주 앵커>최근 언론을 통해 '에너지고속...
-
정부 "동·서해상 표류 북한 주민 6명 송환"
김용민 앵커>정부는 서해와 동해상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동해상으로 송환했다고 밝혔습니다.정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북한 주민들을 송환한다는 입장 아래 관계기관과 협력해 송환에 노력해 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으며, 북한 선박은 자력으로 귀환했습니다.
-
'스마트농업 확산 정책' 차질 없이 추진 중···시설면적 16% 보급 [정책 바로보기]
김유영 앵커>언론 속 정책에 대한 오해부터 생활 속 궁금한 정책까지 짚어보는 정책 바로보기입니다.우리나라의 스마트농업 도입률이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해 낮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사실 확인해보고요.'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어디에서 써야 할지 사용처, 알아봅니다.1. '스마트농업 확산 정책' 차질 없이 추진 중···시설면적 16% 보급최근 언론 보도에서 '고령화 ...
-
미 상호관세 8월 1일까지 유예···"협상에 박차"
김경호 앵커>미국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 25%를 다음달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관세 유예 기한이 한 차례 더 늘어난 셈인데 정부는 남은 기간 협상에 집중할 계획입니다.조태영 기자입니다.조태영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새벽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에 이재명 대통령 앞으로 보내는 관세 서한을 공개했습니다.서한에는 한국산 제품에 대한 2...
-
대통령실, 관세 대응 긴급회의···'3주 총력전' [뉴스의 맥]
김경호 앵커>앞서 뉴스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서 한국이 3주 정도 시간을 벌게 됐습니다.우리 입장에선 귀중한 시간을 얻은 셈인데요.뉴스룸에 나와있는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정유림 기자, 트럼프 대통령 통보 내용부터 간단히 짚고 넘어가보죠.당초 9일부터 적용 예정이던 25% 상호관세율은 유지하고 부과 시점을 미루겠다는 거죠?정...
-
이 대통령 "방산 4대 강국 이끌 컨트롤타워 신설"
김경호 앵커>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방산 4대 강국 도약을 위한 컨트롤 타워 신설을 검토하라고 주문했습니다.방위 산업의 날을 맞아 국방의 근간이자 경제 성장의 동력인 방위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건데요.이 대통령은 방학철에 대비해 어린이 안전 대책도 점검하라고 지시했습니다.최영은 기자입니다.최영은 기자>제30회 국무회의(장소: 용산 대통령실)국무회의를...
-
'국가핵심기술' 보호 강화···해외 유출 시 벌금 최대 65억
김경호 앵커>국무회의 안건도 살펴봅니다.최근 우리 기술의 해외 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가 국가핵심기술에 대한 보호망을 한층 더 강화합니다.기술을 해외로 빼돌릴 경우 최대 65억 원의 벌금이 부과됩니다.신경은 기자입니다.신경은 기자 ske0610120@korea.kr>1. 핵심기술 해외 유출 시 최대 65억 원 벌금 부과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