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KTV 편성개방
KTV소개
KTV소식
편성표
정보공개
로그인
모바일
KTV국민방송
검색
검색
검색
채널안내 펼쳐기
IPTV(KT, SKB, LGU+)
64번
스카이라이프
164번
전체메뉴 열기
온 에어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온 에어
방송안내
통합검색
KTV 소식
KTV소개
회원관리
정보공개
이용안내
편성개방안내
사이트맵 전체보기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블로그
네이버TV
맨위로 가기 버튼
본문
한국방문의 해 홍보대사 김연아 선수
이명박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는 청와대에서 ‘2010-2012 한국방문의 해’ 홍보대사로 김연아 선수를 위촉했습니다. 한국 방문의 해 명예위원장인 김 여사는 세계 피겨스케이트 역사를 새로 쓴 김연아 선수가 홍보대사를 맡음으로써, 한국 관광브랜드 가치 향상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김연아 선수가 할 수 있는 제일 큰 홍보는 ...
"기업 구조조정 등 속도 내야"
이명박 대통령은 "기업 구조조정이든 뭐든 우리가 계획하는 모든 일들이 더 빠르게 속력을 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오늘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한국 경제에 대해 세계 모든 기관들이 좋은 얘기를 하지만 아직 우리는 위기선상에 있고, 따라서 더 많은 긴장과 더 많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
부처별 뉴스
대통령실
한국방문의 해 홍보대사 김연아 선수
이명박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는 청와대에서 ‘2010-2012 한국방문의 해’ 홍보대사로 김연아 선수를 위촉했습니다. 한국 방문의 해 명예위원장인 김 여사는 세계 피겨스케이트 역사를 새로 쓴 김연아 선수가 홍보대사를 맡음으로써, 한국 관광브랜드 가치 향상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김연아 선수가 할 수 있는 제일 큰 홍보는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2009.04.29
한국방문의 해 홍보대사 김연아 선수
이명박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는 청와대에서 2010에서 2012년 한국방문의 해 홍보대사로 김연아 선수를 위촉했습니다. 한국 방문의 해 명예위원장인 김 여사는 세계 피겨스케이트 역사를 새로 쓴 김연아 선수가 홍보대사를 맡음으로써, 한국 관광브랜드 가치 향상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김연아 선수가 할 수 있는 제일 큰 홍보는...
[정책 현장 (2004~2005년 제작)]
2009.04.29
"대입 정상화돼야 공교육 정상화"
이명박 대통령이 대학입시제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학 입시 제도가 정상화돼야 초·중·고 공교육이 정상화된다고 말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대학이 경쟁력을 갖출 수 방안 중 하나는 대학 입시를 정상화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14개 대학 총장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공교육 정상화를...
[정책 오늘 (2008~2010년 제작)]
2009.04.29
가뭄·홍수 막아주는 녹색하천 조성
어제 청와대에서는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는 7개 정부기관장과 4대강 유역 자치단체장들이 참석해 물 확보와 홍수 방지, 친환경 시설 조성 등 앞으로 진행될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총체적인 추진 방향이 제시됐습니다. 정부가 핵심 녹색뉴딜 사업으로 추진하는 4대강 살리기의 밑그림이 공개됐습니다. 우선 총 12억 5천만 톤...
[정보와이드 모닝]
2009.04.28
이 대통령 "4대강 살리기, 우리의 큰 의무"
어제 열린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에 참석한 이명박 대통령은 우리처럼 국토가 좁은 나라는 강을 잘 활용해야 한다면서 이런 의미에서 4대강을 발전시키는 것은 우리의 주어진 큰 의무라고 말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정부 부처 장관과 지방자치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 대회'를 주재하고 사업의 세부 진행 사항을 보고 받았습니다...
[정보와이드 모닝]
2009.04.28
이 대통령 "SI 정보 신속·투명하게 알려야"
이명박 대통령은 SI 추정환자 발생과 관련해 "국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예방요령을 포함해 모든 정보를 신속하고 투명하게 알리라"고 지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오늘 장태평 농림수산부 장관,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등 관련 부처 장관을 불러 긴급 회의를 갖고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초동단계에서부터 검역과 방역을 철저하게 이행...
[정보와이드 930]
2009.04.28
"대입 정상화돼야 공교육 정상화"
이명박 대통령이 대학입시제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학 입시 제도가 정상화돼야 초·중·고 공교육이 정상화된다고 말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대학이 경쟁력을 갖출 수 방안 중 하나는 대학 입시를 정상화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14개 대학 총장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공교육 정상화를...
[정보와이드 930]
2009.04.28
이 대통령 "대입 정상화돼야 공교육 정상화"
이명박 대통령이 대학입시제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학 입시 제도가 정상화돼야 초·중·고 공교육이 정상화된다고 말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대학이 경쟁력을 갖출 수 방안 중 하나는 대학 입시를 정상화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14개 대학 총장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공교육 정상화를...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2009.04.28
"대입 정상화돼야 공교육 정상화"
이명박 대통령이 대학입시제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학 입시 제도가 정상화돼야 초·중·고 공교육이 정상화된다며 대학 정상화는 대학이 주도하고 정부는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공교육 정상화에 대학입시 제도가 매우 중요하다며 대학 총장과 교육 당국자들에게 대학 입시 정상화를 위...
[정책 현장 (2004~2005년 제작)]
2009.04.28
가뭄·홍수 막아주는 녹색하천 조성
어제 청와대에서는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는 7개 정부기관장과 4대강 유역 자치단체장들이 참석해 물 확보와 홍수 방지, 친환경 시설 조성 등 앞으로 진행될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총체적인 추진 방향이 제시됐습니다. 정부가 핵심 녹색뉴딜 사업으로 추진하는 4대강 살리기의 밑그림이 공개됐습니다. 우선 총 12억 5천만 톤...
[정책 현장 (2004~2005년 제작)]
2009.04.28
3691
3692
3693
3694
3695
3696
3697
3698
3699
3700
게시물 검색
검색 조건
제목
프로그램명
검색어 입력
검색
인기뉴스
2026년 교육부 예산안 핵심은?
3차 상법 개정 본격화···무엇이 바뀌나
강릉 오봉저수지 저수율 '뚝'···"빨래도 미뤄요"
'영화 관람료 할인' 가을에도 쭉~ 이어가요
'세계 최경량' 무릎 보조 로봇···"더 가볍고 더 편하게"
'자꾸 반복되는 종기' 화농성 한선염 극복법 [건강 365]
찾아가는 이동식 마트···'식품 사막' 농촌에 단비
고용부 "산업·일자리전환 지원금 사업성과 제고···산업전환 대응" [정책 바로보기]
과기부 "기초연구 예산 안정적 투자 위해 노력" [정책 바로보기]
K-바이오 혁신 토론회···"창의·공정 환경 지원"
인기 프로그램
1
아시아 최대 '청년 작가 미술 축제' 관심 끌어
2
'케데헌' 열풍, 기념품 동나고 명소도 북적
3
'고립·은둔 청년' 다양한 지원 사업 호응
4
외국인 DMZ 탐방, 분단의 현장 체험해요
5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국민이 주인인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