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노무현 대통령, 문재인 신임 비서실장에 임명장 수여
노무현 대통령은 12일 오전 문재인 신임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했습니니다.
문재인 실장은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은 뒤 비서실 개편 등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갑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와함께 염상국 신임 경호실장에게도 임명장을 수여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
투명사회협약 보고회 내용
올해 말 대선을 앞두고 벌써부터 대선 주자들 사이에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9 투명사회협약 대국민보고대회를 통해 정,재계를 비롯해 시민사회단체와 공공부문 등 참가자들은 17대 대통령 선거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치르기로 합의했습니다.
강명연 기자>
Q>투명사회협약 대국민보고대회 어떤 내용입니까?
A>9일 오전 10시 반부터 2007 투명사회협약 대국민보...
-
노무현 대통령, 한덕수씨 총리 지명 예정
노무현 대통령은 한명숙 전 총리 후임에 한덕수 전 경제부총리를 지명하고 국회 인준을 요청할 방침입니다.
한덕수 전 부총리는 참여정부 들어 국책연구기관장인 산업연구원장과 국무조정실장, 경제 부총리, 총리 직무대행을 거쳤고, 현재 대통령 직속 한미 FTA 체결지원위원회 위원장 겸 대통령 한미 FTA 특보를 맡고 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사의를 ...
-
공론화 탄력 받을 듯
8일 발표한 개헌시안에 대해 정부는 국민여론 수렴과정을 거친 후 적정시점을 판단해 발의할 예정이라고 발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개헌에 대한 공론화가 본격적으로 진행 될 것으로 전망 했습니다.
강석민 기자>
대통령임기와 국회의원 임기를 맞추기 위한 세 가지 개헌시안이 나오면서 개헌에 대해 공론화 움직임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고려대...
-
투명성 향상
노무현 대통령은 9일 투명사회협약 대국민보고회에 참석해 우리 사회의 투명성이 크게 향상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대통령의 권력이 낮아지고 권력기관이 민주화되면서 부패의 온상이었던 정경유착의 고리가 끊어졌다고 밝혔습니다.
강동원 기자>
노무현 대통령이 투명사회협약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투명사회협약은 국가적으로 대단히 상징적으로...
-
공정 경쟁 `약속`
한편 투명사회협약 대국민보고대회에서는 각 정당 대표들이 17대 대통령 선거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치르기로 합의했습니다.
강명연 기자>
5개 정당 대표들이 올해 말 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투명하고 깨끗하게 대통령 선거를 치르기로 합의했습니다.
백범 기념관에서 열린 2007 투명사회협약 대국민보고대회에서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와 정세균 열린우리당 의...
-
노무현 대통령, 한덕수씨 총리 지명 예정
노무현 대통령은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후임에 한덕수 한미 FTA체결지원위원회 위원장을 지명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지명자는 참여정부 들어 국책연구기관장인 산업연구원장과 국무조정실장, 경제 부총리, 총리 직무대행을 거쳤고, 현재 대통령 직속 한미 FTA 체결지원위원회 위원장 겸 대통령 한미 FTA 특보를 맡고 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이병완...
-
문답으로 본 `개헌안`
정부가 8일 대통령 임기를 4년 연임으로 하고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임기 주기를 일치시키는 내용의 개헌안 시안을 발표했습니다.
대통령의 궐위시 후임자는 어떤 기준으로 선출하고 또 임기는 어떻게 되는지 등 혼동되는 측면이 많습니다.
이경미 기자>
중임제는 바로 다음이 아니더라도 나중에 얼마든지 다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연임제는 말 ...
-
개헌 약속하면 `유보`
노무현 대통령이 특별 기자회견을 열어 다시 한번 개헌 추진의 공론화를 촉구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하지만 각 당이 다음 대통령 임기 안에 개헌을 하겠다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국민에게 약속한다면 개헌안을 발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습니다.
강동원 기자>
노무현 대통령이 개헌 발의와 관련해 새로운 제안을 내놨습니다.
개헌 문제에 대해 ...
-
개헌안 `4월 발의`
노무현 대통령은 또 개헌안의 발의 시점을 4월로 제시했습니다.
국회 의결과 국민투표 과정을 감안하더라도 4월이면 대통령 선거 일정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배해수 기자>
계속된 기자회견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개헌안의 발의 시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했습니다.
시안의 공론화 과정을 거쳐 4월에 발의하면 시기적으로 충분하다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