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방미중 워싱턴 한국전 참전비에 헌화하는 과정에서 잠시 `경호공백`이 생겼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와 관련해, 청와대는 `경호공백`은 없었다고 확인했습니다.
기자>
청와대가 `노무현 대통령 방미 중 10분간 경호팀과 떨어져 고립돼 있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경호 공백이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 경호실은 청와대에 올린 글을 통해 당시 대통령 탑승 차 주변에 근접 경호가 배치돼 있었으며 선발 경호요원도 미리 가있어서 `경호공백`이 없었다`고 확인했습니다.
다만 경호실장 등 공식 수행원들은 미국측 선도차량이 길을 잘못 들어 제 지점에 내리지 못하고 행사현장까지 달려온 사실은 있었다면서 이에 대해 미국측이 사과를 표명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청와대는 또 나머지 사항은 모두 애초 계획대로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노 대통령은 현지 시간으로 지난 13일 한국전 참전비에 헌화하기 위해 현장에 도착할 무렵 대통령 탑승 차량을 뒤따르던 공식수행원들을 태운 차량 4대가 당초 예정된 하차지점쪽이 아닌 엉뚱한 길로 접어들었습니다.
공식수행원 차량의 선도차량 운전사가 길을 잘못 인도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다행히 공식수행원들은 노 대통령이 헌화를 하는 국기게양대에 먼저 도착해, 대통령을 영접하고 행사를 마무리했습니다.
노 대통령도 공식수행원 차량과는 잠시 떨어졌지만, 대통령 탑승차량과 청와대 경호실의 근접 경호원 차량이 밀착해서 함께 이동했고, 행사장에 사전 도착해 대기하던 경호요원들이 있었기 때문에 경호에는 아무 지장이 없었습니다.
미국 백악관 경호실은 미국인 운전사가 공식수행원 차량을 잘못 인도해 공식수행원들을 잠시나마 당황하게 하는 `해프닝`이 초래된 데 대해 김세옥 청와대 경호실장에게 사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