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청소년 11% "자살 충동 느낀 적 있다"
지난해 우리 청소년 10명 중 1명 이상이, 자살 충동을 느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역시 성적과 진학 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었습니다.
이해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사는 게 힘들다."
"죽고 싶다."
청소년상담센터 홈페이지에는 이렇게 극단적인 선택을 고민하는 청소년들의 사연이 하루에도 여러 건씩 올라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청소년 통계를...
-
7일 오후 2시 전국 지진 대비 민방위훈련
오는 7일 오후 2시 전국에서 지진 대비 민방위 훈련이 실시됩니다.
소방방재청은 오는 6∼8일 범국가적인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407개 기관·단체가 참가한 가운데 '2013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7일 오후 2시부터 20분간 전국 읍 이상 지역에서 지진이나 지진해일 대비 민방위 훈련이 진행됩니...
-
최대 200만원 지급···'근로장려금 신청하세요'
일하는 저소득층에게 지원되는 근로장려금 신청이 시작됐습니다.
자격 요건은 어떻고, 신청은 어디서 하면 되는지, 취재기자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명화 기자, 전해주시죠.
네, 저소득층의 근로 의욕을 높이기 위한 근로장려금 신청이 시작됐습니다.
국세청은 근로자의 날인 어제부터 이번달 말까지 한 달간, 근로장려금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
-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6~8일 실시
범국가적인 재난대응 역량을 키우기 위한 훈련이 오는 6일부터 사흘간 실시됩니다.
특히 7일 오후 2시에는 지진 대비 민방위 훈련이 전국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김경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태풍과 지진 같은 자연재해부터 유해화학물질 유출과 금융전산마비 사고까지, 예측하기 힘든 재난의 유형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이같은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국가를 ...
-
숭례문 '어제와 오늘'…4일 국민의 품으로
600여년 역사를 지닌 국보 1호 숭례문은 조선 왕조 초창기부터 늘 우리와 함께 했습니다.
숭례문의 어제와 오늘 김용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태조 7년 1398년 한양 도성의 성곽과 함께 창건된 숭례문.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숭례문은 문교부의 문화재 애호기간을 맞아 1961년 처음 전면 해체 보수 공사에 돌입했습니다.
6.25전쟁 때 부숴졌던 부...
-
"대형마트 규제…전통시장·SSM 반사이익"
정부가 골목상권을 보호하기 위해 대형마트 영업을 규제한 지 1년이 지났는데요.
전통시장과 기업형 슈퍼 등이 대체 구입처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우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부의 골목상권 보호를 위한 대형마트 영업규제로, 대형마트에서의 소비자 구입액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같은 기간 전통시장을 비롯한 대체구입처의 소...
-
'전통' 살린 숭례문···오는 4일 복구 기념식
오는 4일 국민의 품으로 되돌아오는 국보 1호 숭례문은 우리 전통을 그대로 살려 복구가 이뤄졌다는 게 가장 큰 특징입니다.
김형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화마 속에 스러져 국민들의 가슴을 아프게 했던 숭례문이 오는 4일 국민의 품으로 다시 돌아옵니다.
복구된 숭례문의 가장 큰 특징은 대부분을 옛날 기법 그대로 제작했다는 겁니다.
신응수 대목장, 중요...
-
문화융성 염원 담아···숭례문 복구 '고유제'
숭례문 복구를 조상들에게 고하는 고유제가 오늘 열렸습니다.
문화융성의 염원을 담아 참배객들이 함께 한 현장에 김용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제관이 축문을 읽자 고유제가 시작됩니다.
국가나 가정에서 중대한 일을 앞두고 종묘나 가묘에서 조상에게 사유를 고하는 고유제.
오늘은 5년 3개월만의 숭례문 복구를 앞두고 조상들에게 사유를 고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
-
최대 200만원···근로장려금 오늘부터 신청
국세청은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인 오늘부터 이번 달 31일까지 근로장려금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근로장려금은 일을 해도 소득이 낮아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가구를 위한 지원제도로, 자격요건을 충족하면 소득에 따라 9월 말에 70만원에서 최대 200만원까지 현금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도 다양해져, 스마트폰 앱은 물론 ARS, 국세청 인터넷 홈...
-
물가 상승률 6개월 연속 1%대 안정세
<!--StartFragment-->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개월째 1%대의 안정세를 이어갔습니다.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2% 상승해,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째 1%대로 하향 안정화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4% 올랐고, 생활물가지수의 경우 작년...